
(MHN 나웅석 인턴기자) 컴투스플랫폼이 자사 백엔드 솔루션 ‘하이브(Hive)’를 앞세워 글로벌 게임 백엔드 서비스(GBaaS)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컴투스플랫폼은 컴투스홀딩스의 100% 자회사로, GBaaS 솔루션 ‘하이브’와 웹3 마켓플레이스 ‘X-PLANET’, 그리고 최근 진출한 공공 사업 부문을 핵심 사업으로 삼고 있다.
GBaaS란 무엇인가
GBaaS(Game Backend as a Service)는 ‘게임 백엔드 서비스’를 뜻한다. 게임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계정 인증, 결제 연동, 실시간 데이터 분석, 서버 운영, 보안, 광고 모듈 등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해 제공하는 게임 전용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모델이다.
앱 생태계의 파이어베이스, 전자상거래의 쇼피파이에 비견되는 이 구조는 소규모 게임사도 대규모 글로벌 운영을 가능하게 하며, 대형 퍼블리셔 입장에서는 인프라 부담을 줄이고 운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모바일 중심으로 게임 트래픽이 폭증하고, 출시 후 지속적인 라이브 업데이트가 필수가 되면서, 게임 개발과 운영을 분리하고 외주화하려는 흐름이 본격화되고 있다. GBaaS는 그 중심에 있는 인프라 플랫폼이다.
플랫폼 중심 구조로 확장된 ‘하이브’

컴투스플랫폼의 핵심 사업인 하이브는 게임 콘텐츠 외 거의 모든 운영 기능을 단일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로 제공하는 통합 솔루션이다.
해당 개발 키트를 게임에 접목시키면 인증 ,결제, 통계 분석, 서버 운영, Web3 연동까지, 게임 서비스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능이 연동된다. 개발자는 게임 콘텐츠 제작에 집중하고, 하이브는 나머지 운영 전반을 처리한다.
하이브는 당초 컴투스 그룹 내 게임에만 적용됐으나, 2022년부터 외부 게임사를 대상으로도 세일즈를 시작하면서 사업 기반을 본격화했다. 이후 빠르게 고객군을 확대하며 2024년 기준 75개 기업, 112개 게임에 적용되고 있다.
동남아, 중화권 시장 공략 본격화

컴투스플랫폼은 글로벌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동남아와 중화권을 중심으로 리세일 파트너십과 직접 공급 모델을 병행하고 있다. 지난 2023년에는 태국 Shin-A를 첫 리세일 파트너로 확보했고, 이어서 2024년에는 중국 클라우드 MSP 기업 CapCloud(텐센트 클라우드 공식 파트너), 대만 ZTQ 게임즈와도 연이어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25일에는 대만 1위 게임 퍼블리셔 해피툭(HappyTuk)과의 하이브 공급 계약을 공개했다. 해피툭은 약 400만 명의 이용자를 보유한 게임 포털 ‘망고T5’를 운영하며, 일본, 홍콩 등지로도 퍼블리싱을 전개 중인 중화권 주요 사업자다.
컴투스플랫폼은 이처럼 리세일과 직접 공급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대만, 중국, 동남아 시장에서 하이브 플랫폼의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이 지역은 현지 결제 수단, 다국어 지원, 운영 구조가 복잡해 서구권 GBaaS 솔루션의 진입이 어려운 만큼, 하이브의 로컬 최적화 역량이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적 기반으로 본 수익 구조
하이브는 게임을 제작하지 않고도 수익을 창출하는 B2B SaaS 기반 플랫폼이다. 2024년 기준 컴투스플랫폼의 연결 영업수익은 약 396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5% 성장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26억 8,9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7.7% 감소했다.
글로벌 확장에 따른 지급수수료 급증과 외부 클라우드 인프라 이용 확대, 파트너 계약 기반의 연계 비용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하이브의 수익은 구독형 사용료(MAU 기반), 트래픽 과금, 라이선스 수수료 외에도 웹3 연계 수수료, 결제 연동 부가수익 등으로 구성된다. 반복 가능한 수익 구조 기반의 연간 매출 변동성 감소, 외부 고객사의 비중 증가에 따른 고정 수익 기반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플랫폼으로 전환 중인 컴투스의 조직 전략
컴투스홀딩스는 하이브를 단순 솔루션이 아닌 그룹의 전략적 핵심 자산으로 보고 있다. 외부 고객사를 대상으로 플랫폼 매출을 확보하는 동시에, 필요한 경우 퍼블리싱까지 연계할 수 있는 양면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또한 자사의 웹3 인프라 X-PLANET, 메타버스 프로젝트 ‘컴투버스’와의 연계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게임 플랫폼으로도 활용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 전략은 기존 게임 제작 중심 수익 모델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수익 창출 구조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다만 향후 북미, 유럽 시장 진입, 인프라 확충에 따른 비용 효율성, 외부 고객과의 데이터 분리 신뢰 구축 등은 주요 과제로 꼽힌다.
시사점
GBaaS는 게임 산업 내에서 운영 기능을 외부화하는 흐름의 핵심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하이브는 그 중심에서 아시아 시장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확장을 진행 중이다.
컴투스플랫폼은 이를 통해 그룹 전체 수익 구조의 다변화와 안정화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으며, 글로벌 SaaS 시장에서 하이브가 어떤 위상을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사진=컴투스 온, 하이브플랫폼 공식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