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기의 숨은 주범, 음식물 쓰레기…“온실가스 줄이려면 식탁부터 바꿔야”

[ 비건뉴스 ] / 기사승인 : 2025-04-25 16:25:37 기사원문
  • -
  • +
  • 인쇄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매년 수억 톤의 음식물이 식탁에 오르지 못한 채 버려지며 기후 위기를 악화시키고 있다. 유엔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최대 10%를 차지하며, 이는 항공산업 전체보다 많은 수준이다. 만약 음식물 쓰레기를 하나의 국가로 간주할 경우, 그로 인한 기후오염은 중국과 미국에 이어 세계 3위에 해당한다.



이처럼 음식물 쓰레기는 단순한 낭비를 넘어 환경 문제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음식물이 매립지에서 썩을 때 발생하는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약 28배 강력한 온실가스다.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 경영대학원(Rady School of Management) 로버트 샌더스(Robert Sanders) 조교수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것은 기후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지난 10년간 음식물 쓰레기 문제와 정책 개입 효과에 대해 연구해왔다.



실제로 일부 주에서 매립 금지 정책을 도입했지만, 샌더스 교수의 조사에 따르면 의미 있는 성과를 낸 주는 매사추세츠주 단 한 곳뿐이었다. 그 배경에는 강력한 집행력과 잘 갖춰진 퇴비화 인프라가 있었다.



그는 단순한 규제보다 소비자 행동을 유도하는 ‘동적 가격 책정’이 더 실효성 있는 대안이라고 주장한다. 유통기한 임박 제품의 가격을 자동으로 조정해 소비를 유도함으로써 폐기율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실험에서도 이러한 시스템이 유효성을 입증했다.



반면, 소비자 혼란을 줄이기 위한 유통기한 표기법의 표준화는 실질적인 소비 행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평가다. 샌더스 교수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에서 우선순위를 낮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결국 음식물 쓰레기 문제 해결의 열쇠는 가정에 있다는 것이 그의 결론이다. 식사 계획과 남은 음식 관리 등 일상 속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그는 소비자의 구매 인식을 분석하는 대규모 실험을 계획했지만,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기후 연구 예산 삭감으로 지원이 중단됐다. 현재는 민간 자금 확보를 통해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유럽과 미국 일부에서는 동적 할인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으며, 기술과 정책의 접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샌더스 교수는 “실질적인 행동 변화를 이끌어낼 때, 비로소 음식물 쓰레기라는 ‘숨은 배출원’을 통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