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경부하기’ 대책기간 확대 운영 및 이행력 강화한다

[ 에너지데일리 ] / 기사승인 : 2025-02-21 12:54:00 기사원문
  • -
  • +
  • 인쇄

사진은 전력거래소 중앙전력관제센터
사진은 전력거래소 중앙전력관제센터




[에너지데일리 송병훈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은 이번 봄철 경부하기 발전과잉에 따른 수급불균형 및 계통불안정에 대비하기 위해 작년 봄철 대책기간 보다 3주 빠른,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총 93일간 2025년 봄철 경부하기 대책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전력당국에 따르면, 안정적인 전력계통 운영을 위해서는 ‘발전’과 ‘수요’의 일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과거에는 변화하는 수요에 맞춰 전력시장에 참여하는 연료기반의 대형발전기의 출력을 조절했으나, 최근에는 전원믹스 변화로 전력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소규모 발전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변동성·경직성 자원도 함께 증가함에 따라 계통운영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이같은 현상이 특히 심해지는 계절이 봄·가을철이다. 봄·가을철은 냉난방 수요가 크지 않아 많은 발전량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부하기(低수요)이나, 태양광 발전설비의 이용률은 제일 높아(高발전) 봄·가을철 주말을 중심으로 낮 시간대 발전량이 수요를 초과하는 공급과잉이 우려되고 있다. 또한 태양광이 밀집된 일부지역에서는 발전량이 송전선로 수용용량을 초과하는 국지적 계통불안정도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전력당국은 수급불균형, 국지적 계통불안정이 전력망 불안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2023년 봄부터 경부하기 전력계통 안정화 대책을 운영 중에 있으며, 올 봄 역대 최장기간 경부하기 대책기간을 운영할 계획이다.



먼저, 경부하 기간 ‘저수요’ 및 ‘고발전’이 이슈가 되는 만큼, 발전량 감축, 수요량 증대 등 선제적 안정화 조치를 우선 시행한다.



발전량을 감축시키기 위한 ▲석탄단지 운영 최소화 ▲공공기관 자가용 태양광 운영 최소화 등을 추진하고, 수요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요자원 활용, ▲태양광 연계 ESS 충전시간 조정 등을 추진한다.



이같은 조치에도 불구, 추가적인 발전량 감축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경직성 전원에 대한 출력제어를 실시해 계통안정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공급과잉 및 계통불안정 우려에 따른 출력제어 지시가 이행되지 않을 경우, 전력망 불안과 심각한 경우 정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계통안정화 조치에 대한 이행력을 담보하고, 계통안전성에 대한 계통참여자의 책임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마련한다.



아울러 출력제어에 대한 발전사업자들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출력제어가 필요하다고 사전에 전망되는 경우, 총 3번의 사전안내(전일 18시, 당일 09시, 출력제어 30분 전)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출력제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경부하기’ 수요 증진을 위한 추가 방안도 대책기간 중 적극 발굴·시행할 방침이다.



산업부 이호현 실장은 “겨울철 대책기간이 끝난 지 한 달도 지나지 않아 봄철 경부하기 대책기간이 시작하는 등 연중 상시 비상체계로 돌입하고 있다”면서 “안정적 계통운영을 위해서는 계통에 참여하는 모든 발전원의 협조가 필요하며, 전력당국도 비상대응체계 운영, 계통안정화 설비 보강 등 시스템 구축·투자를 적극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