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빈대인표 BNK금융, 인사태풍 속 행장 교체 택할까

[ 더리브스 ] / 기사승인 : 2025-01-20 14:43:57 기사원문
  • -
  • +
  • 인쇄

BNK금융그룹 빈대인 회장. [그래픽=김현지 기자]
BNK금융그룹 빈대인 회장. [그래픽=김현지 기자]




BNK금융지주가 자회사 최고경영자(CEO) 인사를 앞두고 있다. 빈대인 회장의 남은 임기 1년을 동행할 사장단을 다시 꾸리는 기로에 서있는 셈이다.



업계는 경남은행과 부산은행 행장 교체 여부에 주목한다. 연임을 결정한 다른 지방은행들과는 다르게 그룹 내 두 은행은 각기 걸림돌을 갖고 있어서다.



부산은행은 방성빈 행장 체제에서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고 평가받는다. 경남은행의 경우 대규모 횡령사고 여파가 경영진의 연임 여부를 좌우할 변수다.





자회사 CEO 인사 앞둔 BNK금융





BNK금융지주 빈대인 회장이 임기 1년을 남기고 다시 자회사 CEO 선임을 결정해야 하는 중요한 기점을 맞았다. 자회사 9곳 중 5개사의 CEO 임기가 오는 3월 말로 만료돼서다.



임기 만료를 앞둔 CEO는 BNK부산은행 방성빈 행장과 BNK경남은행 예경탁 행장, BNK캐피탈 김성주 대표, BNK자산운용 배상환 대표, BNK신용정보 김상길 대표 등이다.



이들은 빈 회장이 취임 해인 2023년 3월에 선임된 CEO다. 남은 4개사의 CEO도 그해 12월로 교체됐으며 그중 임기 1년을 부여받았던 BNK저축은행 김영문 대표는 지난해 말로 자추위에 의해 연임이 결정됐다.



BNK금융 자추위 판단에 빈 회장의 입김이 크게 작용할 거란 게 업계의 추측이다. BNK금융이 2023년 10월 말 자회사CEO후보추천위원회를 신설하며 그룹 회장의 권한이 커졌기 때문이다.



그동안 각 계열사는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후보자를 선출 및 심사, 이사회 추천까지 진행해왔다. 자추위 신설 이후로는 그룹 자추위가 계열사 임추위에 단수 추천하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임추위는 자추위 추천 후보를 상정할지만 결정한다.



현재 BNK그룹 자추위 위원은 총 4인으로 사내인사인 빈 회장과 정영석, 최경수, 서수덕 등 사외이사 3명 등이다. 회장의 입김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조가 된 셈이다.





부산은행 방성빈 행장, 실적 발목






BNK부산은행 방성빈 행장. [그래픽=김현지 기자]
BNK부산은행 방성빈 행장. [그래픽=김현지 기자]




업계는 BNK금융 자회사 중 은행장 연임 여부에 특히 집중하고 있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BNK금융의 핵심 계열사라는 점 때문도 있지만 다른 지방은행장과는 다르게 교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 주요 이유다.



앞서 JB금융은 지난해 12월 전북은행 백종일 행장과 광주은행 고병일 행장의 유임을 확정했다. DGB금융도 황병우 회장의 iM뱅크 행장직 겸직을 1년 더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BNK금융 은행 자회사 중 부산은행은 최근 부산시금고 유치에 성공했다. 지난 2000년부터 부산시금고를 맡아온 부산은행은 지난해 24년 만에 주금고 입찰에 성공해 제1금고 지위를 유지하게 됐다.



이에 따라 부산은행 방 행장의 연임에 힘이 실릴 거란 관측이 나왔지만 실적이 발목을 잡을 수 있는 요소다. 방 행장 취임 후 부산은행은 부진한 성적을 거둬왔기 때문이다. 실적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이 꼽힌다.



지난해 3분기 부산은행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38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다. 2023년 말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16.8% 하락한 3791억원을 거뒀으며 4분기에는 적자를 기록했다.





경남은행 예경탁 행장 걸림돌 ‘내부통제’






BNK경남은행 예경탁 행장. [그래픽=김현지 기자]
BNK경남은행 예경탁 행장. [그래픽=김현지 기자]




경남은행 예경탁 행장의 연임 전망은 내부통제 문제로 방 행장보다 어둡다. 예 행장이 대규모 금융사고로 인해 직접적인 제재를 받은 건 없으나 그가 내부통제에 관한 최종 책임자라는 점에서 타격은 불가피할 수 있다.



앞서 경남은행은 지난 2023년 77억9000만원 상당의 부동산 PF 대출 횡령사고를 인지하고 금융감독원에 보고했다. 추후 금감원 조사로 밝혀진 횡령금액은 2988억원에 달한다.



사고가 발생한 기간은 2008년부터 2022년까지로 사실상 예 행장의 임기와는 맞닿아 있지 않다. 그러나 고객들은 예 행장에게까지 질책을 보냈다. 당시 경남은행의 뒤늦은 사과문과 그마저도 설명자료와 다르지 않다는 점 등이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지난해 11월 금융위원회로부터 일부 영업정지 중징계를 받은 점도 연임에 악영향을 줄 거란 게 업계의 추측이다. 비록 횡령사고에 따른 금융당국의 제재이지만 신규 PF대출 취급 제한 및 임직원 제재 등 예 행장 임기와도 긴밀히 연결돼있다는 점에서다.



아울러 지난해 책무구조도 시범운영에 참여하지 않은 점도 변수다. 당국의 제재 결정 이후 경남은행은 ‘재발방지를 위한 내부시스템 강화와 신뢰회복을 최우선으로 삼겠다’라고 강조했지만 실질적인 행보는 크게 없었던 셈이다.



한지민 기자 hjm@tleaves.co.kr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