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5월 2일 임시공휴일·대체공휴일 지정 여부에 대해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5월 1일 근로자의 날과 5월 5일 어린이날·부처님 오신 날이 겹쳐 5월 6일이 부처님오신날 대체공휴일로 지정되면서, 5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경우 최장 6일의 황금연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 정부에서는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에 대해 공식적인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에 대해 여론에서는 찬반 갑론을박이 치열하다.
우선, 긍정적 측면에서는 국내 소비 및 여행 수요 증가를 통한 경제 활성화 기대, 국민들의 휴식권 보장 및 삶의 질 향상 등이 있다.
근로자들은 5월 2일 하루 연차를 사용해서라도 6일간의 휴식을 취하겠다는 입장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부정적 측면에는 긴 연휴가 생길 경우, 국내 여행보다는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이 많아질 수 있고, 이는 정부가 임시공휴일 지정을 통해 기대하는 국내 소비 활성화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다.
부득이하게 영업을 해야하는 자영업자는 매출 및 인건비 부담 증가 우려, 해외여행 수요 증가로 인한 국내 소비 진작 효과 미미 우려된다.
또, 6월 조기 대통령 선거일로 대선날짜가 6월 3일 임시공휴일 지정이 확정된 상황에서 5월 2일까지 임시공휴일로 추가 지정할 경우, 2개월 사이에 두 번의 임시공휴일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기업의 생산성 저하 및 경제 활동 위축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긍정적 및 부정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임시공휴일 지정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령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결정은 아직 미정, 5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지는 좀 더 기다려봐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