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일보] 박준영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민간 전문가와 지자체, 지역 상인·주민이 협력해 상권 맞춤 전략을 수립하는 ‘동네상권발전소’ 사업을 전국 16곳에서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동네상권발전소는 지역 상권의 자생력과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으로, 올해 처음으로 도입된 ‘네트워크형’을 포함해 ‘전략수립형’과 함께 운영된다.
이번 사업에는 총 50개 지자체가 상권 연합체를 구성해 신청했으며, 네트워크형은 6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할 만큼 현장 관심이 뜨거웠다. 선정된 16개 지역은 각각 상권기획자와 협업해 지역 고유의 문제를 진단하고, 지역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골목상권을 살리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전략수립형 9곳은 서울 서대문구, 강원 영월군·춘천시, 경북 영주시·청도군, 부산 사하구, 경남 고성군, 전북 군산시, 제주 서귀포시다. 이들은 지역의 특성과 문제를 반영한 상권 전략을 직접 수립하고 실행한다.
예를 들어 강원 영월군은 폐광과 화력발전소 폐업으로 침체된 덕포리에 ‘타임스퀘어’를 조성하고, 시간여행 축제와 벼룩시장 운영을 통해 관광형 상권을 재구축할 계획이다. 서울 서대문구는 신촌·이대 일대의 정체성을 복원하는 ‘K-STREET’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공실 문제 해결도 병행한다.
네트워크형으로는 경기 평택시, 강원 강릉시, 대구 동구, 경북 구미시, 경남 남해군, 광주 동구, 전남 강진군 등 7곳이 선정됐다. 이들은 상인 조직화를 통해 정체성을 확보하고, 향후 골목형상점가 지정 등 제도 기반 마련을 목표로 한다. 특히 평택시는 지역 농산물과 어류를 활용한 로컬 안주 상품 개발을 통해 공동체 협력과 유통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광주 동구는 청년 창업가가 주도하는 ‘동명크루’를 중심으로 지역 브랜드 상권을 형성한다.
중기부에 따르면 전략수립형에는 최대 1억5000만원, 네트워크형에는 최대 3000만원의 국비가 지원되며, 전략수립형은 지방비와 매칭이 요구된다. 두 유형 모두 지자체와 상권기획자, 로컬크리에이터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하며, 전략수립형의 경우 5년 단위 전략과 자율상권조합 설립도 의무화된다.
소상공인정책관 이대건 국장은 “이번 사업은 지역의 주도성과 민간 전문가의 기획 역량을 결합한 새로운 상권 활성화 모델”이라며 “골목상권의 조직화와 정체성 확보를 통해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기반을 만드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