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군, 11조 6천억 규모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04-16 11:39:09 기사원문
  • -
  • +
  • 인쇄
조상호 태안군 미래에너지과장이 16일 태안군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사진/백승일 기자)
조상호 태안군 미래에너지과장이 16일 태안군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사진/백승일 기자)

(태안=국제뉴스) 백승일 기자 = 충남 태안군이 태안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지역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군은 총 사업비 11조 6천억 원을 투입하여 태안 앞바다에 1.4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단지 3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군 미래에너지과는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공공 주도 해상풍력 단지 개발과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지정을 통해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심각한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는 데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해상풍력 발전단지 운영·관리 부두 조성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군은 이미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사업 추진에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다. 2021년 ‘태안 풍력’을 시작으로 ‘가의 해상풍력(2023)’, ‘서해 해상풍력(2024)’이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했으며, 현재 환경부와 국방부 등 관계 부처와 인허가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 사업은 2020년 수립된 ‘에너지 중장기 계획’에 반영되었으며, 이듬해 산업부의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지원 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43억 5천만 원의 국비를 확보한 바 있다. 이후 군은 해상풍력 발전의 체계적인 개발을 위해 ‘제1기 태안군 해상풍력발전 민·관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해 왔다.

특히, 군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주민 수용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민 설명회와 선진지 견학 등을 통해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해상풍력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지정을 신청하기 위해 ‘제2기 태안군 해상풍력발전 민·관협의회’를 새롭게 구성하는 등 철저한 준비를 이어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는 지자체 주도로 40MW를 초과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을 설치·운영하는 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REC(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추가 가중치 최대 0.1을 확보하여 이를 통해 수산업 지원 및 주민 복지 사업 등에 투자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군은 이달 중 집적화단지 지정을 위한 ‘제6차 민·관협의회’를 개최하고 산업부에 관련 사업계획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또한, 군민들을 대상으로 각 현안 사항별 설명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하며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사업 추진 과정에 반영하여 주민 수용성을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더불어 군은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핵심 기반 시설인 ‘해상풍력 발전단지 운영·관리 부두’를 2029년까지 원북면 태안항에 건설할 계획이다. 이 부두는 해상풍력 발전기의 점검, 유지 보수 등 운영 관리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군은 지난해 4월 ‘제4차 항만 기본(수정) 계획’에 해당 부두 건설 계획을 반영해 줄 것을 해양수산부에 요청했으며, 앞으로도 관계 기관과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계획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이 외에도 군은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해 읍면 이장단 및 어업인 등을 대상으로 2023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15차례의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꾸준한 소통 노력을 기울여 왔다. 앞으로도 민·관협의회를 중심으로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과 요구사항을 사업 추진에 최대한 반영할 계획이다.

조상호 미래에너지과장은 “당초 5개 단지 조성을 계획했으나 풍황계측기가 미설치된 2개 단지의 경우 올해 3월 공포된 특별법 적용을 받아 향후 특별법에 따라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태안화력의 단계적인 폐쇄로 인해 복군 이래 가장 심각한 위기에 직면한 만큼, 새로운 ‘친환경 그린 에너지 도시’로의 전환을 통해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모든 공직자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굳은 의지를 밝혔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