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발표에는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와 송호준 경주시 부시장이 직접 참석해 경주의 경쟁력을 상세히 설명했다.
발표자로 나선 송호준 부시장은 약 20분간의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경주의 유치 배경과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어진 30분간의 질의응답에서 양금희 부지사는 “경주는 50년 원전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성과 주민 수용성이 뛰어나며, 포스텍·한동대·원자력연구원 등 첨단 연구 인프라가 집적된 핵융합 연구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이번 발표평가에 대비해 10여 차례 대책회의를 진행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유치 당위성을 다지는 등 빈틈없는 준비 과정을 거쳤다.
유치 신청 부지는 경주시 감포읍 문무대왕과학연구소 2단계 유휴부지로 약 51만㎡ 규모다. 산업단지로 이미 계획된 부지라 연구시설 건립과 착공이 빠르게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경주시는 50년 넘게 원전을 운영해 온 지역으로,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을 보유한 전국 유일의 도시다. 이러한 배경은 타 지역과 비교해 월등한 주민 수용성을 갖췄다는 평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포항공과대학교와 한동대학교 등 지역 연구기관은 플라스마 제어, 혁신형 디버터 등 핵융합 실현을 위한 8대 핵심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관련 석·박사 인력 양성까지 수행하고 있어 “핵융합 연구 생태계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경주는 2025 APEC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국제행사 운영 역량을 입증한 만큼, 향후 핵융합 국제협력 허브 도시로 성장할 잠재력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핵융합 연구에 필수적인 입자가속기 기술 활용 면에서도 경북이 유리하다고 평가한다. 포스텍의 방사광가속기와 양성자가속기 등과의 연계가 가능해 핵융합 연구의 최적 환경을 갖췄다는 것이다.
양금희 경제부지사는 “핵융합 연구시설은 막대한 전력이 필요한 미래 에너지 주권과 직결되는 국가 핵심 사업”이라며 “과거 경북이 원전 전력으로 대한민국 산업화를 견인했던 것처럼, 미래 에너지인 핵융합 상용화의 중심지도 경주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핵융합 연구시설 부지 선정 결과는 한국연구재단 평가위원회 심사를 거쳐 이달 말 발표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