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5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실무위원회 평가를 거쳐 전국 7개소가 지정 후보지로 선정됐으나, 이번 회의에서는 경북 포항을 비롯해 울산, 충남 서산 등 3개 지역의 지정이 보류됐다.
경북 포항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무탄소 에너지 공급 시스템 실증사업으로, 전력 신산업 육성과 탄소중립 기반 조성을 위한 핵심 프로젝트다.
이 사업은 암모니아를 개질(2NH₃→N₂+3H₂)해 청정수소를 생산하고, 수소엔진발전기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미래형 친환경 에너지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경북도는 포항시 흥해읍 영일만산단(444만㎡) 일원에 청정 암모니아 기반 수소엔진 발전 실증단지를 조성해, 지역 산업단지 내 수요기업에 무탄소 전력을 직접 공급하는 계획을 세웠다.
분산사업자는 ㈜GS건설, ㈜아모지, ㈜HD현대인프라코어 등 3개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포항은 이차전지·철강기업이 밀집한 국가 산업 중심지로, 제조업 전력수요 대응과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비한 무탄소 전력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지역 산업계는 이번 보류 결정에 아쉬움을 표하면서도, 향후 재심의에서의 반전을 기대하고 있다.
경북도는 보류 사유를 면밀히 분석하고, 지정 필요성 논리를 한층 더 보완해 차기 에너지위원회 재심의에 대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제36차 에너지위원회 결과를 반영한 사업계획을 재정비하고, 관계 부처인 기후에너지환경부와 긴밀히 협의하여 보완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애초 계획대로 민관 협의체 구성, 협약 체결, 세부 추진계획 수립 등 사전 준비를 차질 없이 진행해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에 대비할 계획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포항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단순한 발전 실증사업이 아니라, 경북의 미래 에너지 산업 생태계를 이끌 핵심 모델”이라며 “논리를 더욱 강화해 차기 회의에서 반드시 지정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