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연 "부산시 폐아스콘 재활용률 6%대...자체 기준에 못 미쳐"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11-08 11:09:40 기사원문
  • -
  • +
  • 인쇄
(부산=국제뉴스) 김옥빈 기자 = 부산시의회 해양도시안전위원회 이승연 의원(수영구2, 국민의힘)이 최근 열린 '도시공간계획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폐아스콘 재활용 실적이 목표치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수거량 대비 재활용량이 현저히 떨어진다"며, 재활용 관리체계의 전면적인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6일 열린 '도시공간계획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이승연 시의원(왼쪽)이 "폐아스콘 재활용 실적이 목표치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불법 사용·폐기 가능성을 제기했다/제공=부산시의회
지난 6일 열린 '도시공간계획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이승연 시의원(왼쪽)이 "폐아스콘 재활용 실적이 목표치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불법 사용·폐기 가능성을 제기했다/제공=부산시의회

부산시의 2025 건설공사 설계지침에는 폐아스콘 발생량 100t 이상인 사업장에서는 폐아스콘의 90% 이상을 재활용하도록 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의원이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7.5%, 2024년 22.8%, 올해 30.1%로 법정 기준인 40%조차 지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의원은 최근 언론 보도를 인용하며 "부산시의 폐아스콘 재활용률 목표치가 90%인데 반해 실적은 6%에 불과하고, 법정 기준인 40%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고

"2023년 약 52만t의 폐아스콘이 수거됐지만, 이 중 재생 아스콘으로 활용된 것은 약 4만t에 불과하다"고 언급하며 "나머지 48t의 처리 경로가 명확하지 않다. 불법 처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이에 대한 조사를 요구했다.

이 의원은 또 폐아스콘 분리발주 기준의 실효성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기준에서 요구하는 서류는 누구나 쉽게 발급받을 수 있으나, 막상 실제 폐아스콘 생산량을 확인하는 기준이 없어 자격이 없는 업체들이 폐아스콘을 수거만 해서 큰 이익을 남긴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재활용률 목표치를 현장의 실태를 파악해 현실에 맞게 수정하고, 부적격업체를 거르지 못하는 분리발주 기준을 다시 마련할 것을 요구하며, 업체의 폐아스콘 수거부터 재활용·최종처리까지 전 과정에 대해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줄 것"을 강조했다.

한편 부산시의회는 지난 4일 제332회 정례회를 개회했다. 이에 따라 해양도시안전위원회는 5일부터 14일까지 소관 8개 부서와 기관에 대해 행정사무감사를 진행 중이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