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데일리 송병훈 기자]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이 한국과 EU의 에너지 정책에 새로운 도전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EU 전체 전력의 약 3%를 차지하는 데이터센터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면서 전력망 부담, 기후 목표 달성, 토지 이용, 에너지 비용 등 다층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EU는 2030년까지 데이터센터 탄소 중립을 목표로 2020년 디지털 전략과 2023년 에너지효율 지침을 시행 중이며, 한국 역시 AI 인프라 확대로 2038년까지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2024년 대비 3배 증가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AI 컴퓨팅 이니셔티브와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대응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청정 전력의 안정적 공급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강조했다.
부산 벡스코에서 지난 27일 열린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에서 주한 유럽연합 대표부가 주최한 ‘AI와 에너지: EU와 한국의 디지털·녹색 전환 실현’ 고위급 세미나에는 정부 관계자, 산업계 리더, 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청정에너지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이 가져올 혁신과 전방위적 영향력에 대하 높은 관심을 보였다.

디테 율 요르겐센 EU 집행위원회 에너지총국장은 개회사를 통해 “유럽연합과 한국이 연구, 혁신, 정책적 노력을 결합해 파트너십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라며 “디지털 혁신이 청정하고 안전하며 경제적인 에너지를 주도하는 미래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카 뉘캐넨 핀란드 경제고용 및 환경부 차관과 미헬 하이드라 네덜란드 기후정책·녹색성장부 차관은 AI를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핵심요소로 평가하며, 한국과의 협력을 통해 AI의 잠재력을 실용적 해결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로잘린데 반 데르 플리스 EU 집행위원회 에너지총국 국장은 데이터센터 관련 정책과 향후 계획을 소개하며, 특정 지역 집중으로 발생하는 전력망 부담과 기후 목표 달성, 토지 이용 문제를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EU는 향후 5~7년간 데이터센터 용량을 3배로 늘리는 클라우드 및 AI 개발법을 준비 중이며, 2026년 초 발표 예정인 ‘에너지 부문 디지털화 및 AI 전략 로드맵’을 통해 시스템 차원의 접근으로 에너지 영향을 관리할 예정이다.
한국 측에서는 KISTEP와 KIER 관계자들이 AI 인프라 급증이 한국 전력정책과 산업 환경 전반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2038년까지 한국 데이터센터 총 에너지 수요는 약 6.2GW로 급증할 전망이며, 김선교 KISTEP 연구위원은 “2025년은 다양한 AI-에너지 정책이 시행되는 전환점으로, AI 리더십과 에너지 안보가 국가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전력공사 KDN과 싱크탱크 ‘기후솔루션’ 관계자들도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 청정 전력의 안정적 공급 확보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산업계 대표들도 AI와 재생에너지 통합 최적화 가능성을 인정하며 정책적 지원 필요성을 함께 제기했다. 오스테드 코리아와 지멘스 코리아 대표는 “AI는 재생에너지 관리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도구지만, 정책 체계가 강화되지 않으면 잠재력이 발휘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는 EU와 한국 간 공동 연구개발 사업, 정책 교류 확대, 청정에너지 통합, 디지털 인프라 발전 등 다양한 산업 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자리로, AI와 에너지를 결합한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양국의 전략적 협력이 본격화되는 계기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