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투자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이 29일 진행한 ‘2025 우수기술 사업화 지원사업 Agri-Future’ 데모데이 현장(제공=한국사회투자)
공익법인 임팩트투자사 한국사회투자(이사장 이종익)는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과 함께한 ‘2025 우수기술 사업화 지원사업 Agri-Future(애그리퓨처)’ 데모데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30일 밝혔다.
‘2025 우수기술 사업화 지원사업 Agri-Future’는 한국농업기술진흥원과 한국사회투자가 공동 주관하는 사업으로, 우수기술을 보유한 청년창업기업 및 청년농업인을 발굴·육성하기 위해 3년째 운영되고 있다.
본 프로그램에서 최종 선정된 곳은 △스탁키퍼 △비바네이처 △핸디팜 △머쉬앤 △플랜트너 △프레시어스 △조벡스 △엔티 △비네이처바이오랩 △다산바이오 총 10개 기업이다. 이들에게는 약 30주간 △기본 및 심화 교육 △1:1 전문 멘토링 △IR 컨설팅 △지재권 지원 △직접투자 등 다양한 맞춤형 지원이 이뤄졌다.
10개 기업은 올해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스탁키퍼가 30억원, 조벡스가 5억원, 프레시어스가 3억원, 엔티가 2억원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머쉬앤은 Future Food Asia Top 10에 선정되고 Novo Nordisk의 연구자금을 유치했다. 또한 비바네이처, 플랜트너, 조벡스 등이 베트남, 싱가포르 등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해외 진출에 성공했다.
사업의 3년간 누적 성과도 주목할 만하다. 2023년부터 현재까지 30여 개 참여기업이 직접투자 9억원, 후속 투자유치 80억원, 산업재산권 106건 취득, 농식품 투자사 매칭 90회 이상을 달성했다.
이종익 한국사회투자 이사장은 “Agri-Future 프로그램이 3년 차를 맞아 농산업 혁신 생태계의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며 “푸드위크 코리아 공동홍보관 운영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참여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앞으로도 식량 안보와 기후 위기 대응 등 시대적 과제 해결에 기여하는 농식품 기술 사업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사회투자 소개
한국사회투자는 2012년 설립된 공익법인 임팩트투자사로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스타트업, 사회혁신조직에게 투자, 액셀러레이팅, ESG컨설팅 등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719억원의 누적 임팩트투자금을 집행했으며, 523개사에 금융지원, 1096개사에 비금융지원을 제공했다.
출처: 한국사회투자
언론연락처: 한국사회투자 윤유진 매니저 02-2088-329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