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한동훈·홍준표, 대한민국 비전 경쟁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04-15 16:53:22 기사원문
  • -
  • +
  • 인쇄
▲나경원·한동훈·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들은 15일 국회와 선거캠프에서 대한민국 비전 정책을 각각 발표했다./국제뉴스DB 
▲나경원·한동훈·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들은 15일 국회와 선거캠프에서 대한민국 비전 정책을 각각 발표했다./국제뉴스DB

(서울=국제뉴스) 구영회 기자 = 나경원·한동훈·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들은 15일 본선을 향한 정책비전 경쟁을 펼쳤다.

나경원 예비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꺼진 대한민국 성장 엔진에 강력한 동력을 불어 널 'G5 경제강국' 1·4·5 프로젝트를 제시했다.

나경원 예비후보는 "광복 100주년이 되는 2045년까지 국민소득 4만 달러, 세계 5대(G5) 경제 강국 이것은 단순한 꿈이 아니다"며 "나경원이 국민 여러분과 함께 반드시 만들어갈 것"이라고 공약했다.

나경원 예비후보는 "이를 위한 핵심 전략은 '1·4·5 프로젝트'는 잠재성장률 1% UP! 국민소득 4만불 달성! G5 강국 진입구체적인 정책과 강력한 추진력으로 이 목표 반드시 달성하겠다"며 "△국민 지갑부터 든든하게 채우고 활력 넘치는 민생 경제△미래를 여는 성장 동력 △균형 잡힌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나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나경원 예비후보는 "'G5 강국 경제'는 성장의 온기가 소상공인, 샐러리맨, 청년, 어르신 등 국민 모두에게 골고루 퍼지는 '함께 잘사는 대한민국'을 향한다"며 "꺼진 성장 엔진에 다시 불을 지피고 국민 지갑을 든든하게 채우겠다"고 말했다.

한동훈 예비후보도 이날 국회에서 "보수 정권과 보수 정당에서 '중산층'을 핵심 정책이나 슬로건으로 내건 적은 없다"며 '성장하는 중산층' 정책비전 1탄을 발표했다

이어 "중산층을 두텁게 만들기 위해선 △ 국민의 소득을 높이는 성장 △ 소득을 갉아먹는 과도한 세금 낮추기 △의료·교육·돌봄·주거 등 필수 비용에 대한 복지 강화 △에너지 등 물가 안정을 통한 실소득 증대 등 네 가지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동훈 예비후보는 성장하는 중산층 시대를 만들기 위해, 성장과 조세, 복지, 물가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 비전을 국민께 보고했다.

한동훈 예비후보는 "'민주주의에는 중산층이 필요하다'는 말처럼 합리적이고 상식적인 목소리를 가진 중도층이 늘면 자유민주주의도 굳건해진다. 지금처럼 양극단의 목소리가 과잉 대표되고 중간층의 생각은 무시되기 일쑤인 사회 분위기를 바꿀 것이라면서 "이처럼 저는 중도와 중용의 가치를 중시하는, 성장하는 중산층의 시대를 열겠다"고 말했다.

홍준표 예비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캠프에서 제7공화국을 향한 4년 중임·양원제 개헌 등 선진대국 국가대개혁 100+1 정치부문 비전을 제시했다.

홍준표 예비후보는 "정치 분야의 핵심으로 '각자에게 그의 것을' 원칙과 신탕평을 통한 '상호인정·상행협력의 정치'를 복원해야 한다"며 개헌을 포함한 18개의 정치분야 대개혁과제를 제시했다.

홍준표 예비후보는 "제6공화국 헌법의 한계 해법으로 4년 중임제, 국회 양원제 도입을 포함한 개헌 추진 입장을 거듭 밝혔다.

또 정부 출범직후 대통령 직속으로 ’개헌추진단’을 설치해 개헌 논의에 착수하고 이와 함께 헌법재판소 폐지와 대법원 헌법재판부 설치와 같은 개혁안도 함께 제시했다.

이와 함께 선관위의 전면적인 구소 개편과 공정선거 시스템 구축을 통해 무너진 선거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운영 전반 정상화 구상과 왜곡된 여론 방지를 위해 '여론조사법' 제정 중대선거구제 도입 등 선거 시스템 전반에 대한 구조 전환 방향도 제시했다.

또 AI 전자정부 구현을 통해 행정의 투명성과 생산성을 대폭 제고하고 국가의 중장기적 발전 전략을 수립할 ‘미래전략원’을 신설, 정치적 편향성이 문제가 된 공수처는 폐지하고, 대신 특별감찰관제를 통해 권력형 비리를 감시 등 구상도 밝혔다.

18개의 정치분야 대개혁과제는 △정부 개헌추진단 설치△4년 중임제, 양원제, 정·부통령제 도입△헌법재판소 폐지, 대법원 헌법재판부 설치△선거관리위원회 대수술△청와대 복귀△ 공수처 폐지, 특별감찰관 도입△신탕평, 정치복원△중대선거구제 도입△규제 법령 대정비△공정 선거 시스템 마련△여론조사법 제정△국정원 대공수사권 부활△한국판 FBI 설치(국가수사국)△외국인 주민투표권 축소△교육감 런닝메이트 도입△미래전략원 신설△정부 부처 감축△ AI 전자정부 구현 등이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