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손주돌봄수당'예산 첫 반영…홍인숙 의원 의정 성과 결실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11-21 17:23:22 기사원문
  • -
  • +
  • 인쇄
홍인숙 제주도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 아라동갑)이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손주돌봄수당’ 사업이 2026년 시행을 목표로 예산에 반영되면서, 저출생과 맞벌이 돌봄공백 해소를 향한 제주도의 발걸음이 본격화되고 있다.[사진=제주도의회]
홍인숙 제주도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 아라동갑)이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손주돌봄수당’ 사업이 2026년 시행을 목표로 예산에 반영되면서, 저출생과 맞벌이 돌봄공백 해소를 향한 제주도의 발걸음이 본격화되고 있다.[사진=제주도의회]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제주에서 조부모가 손주를 돌보는 현실을 제도적으로 인정하는 첫 걸음이 마련됐다.

홍인숙 제주도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 아라동갑)이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손주돌봄수당’ 사업이 2026년 시행을 목표로 예산에 반영되면서, 저출생과 맞벌이 가정의 돌봄 공백을 해소하려는 제주도의 정책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다.

홍 의원은 지난 21일 열린 제444회 제2차 정례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 회의에서 제주도 복지가족국을 대상으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돌봄정책의 출발점”이라며 예산 반영을 환영했다.

특히 홍 의원이 지난 1년간 강조해온 ‘조부모 돌봄의 제도화’가 실제 정책의 틀을 갖추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이번 결정은 상징성이 크다. 저출생 대책이 선언적 논의에 머무르는 상황에서, 제주가 생활밀착형 돌봄을 제도화한 것은 뚜렷한 성과로 평가된다.

홍 의원은 올해 초부터 상임위와 도정질문을 통해 조부모 돌봄의 가치를 사회적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선도적으로 제기해 왔다.

지난 2월 보건복지안전위원회 회의에서 손주돌봄수당의 필요성을 공식 제기하며 “현장에서 이미 이루어지는 조부모 돌봄에 대한 사회적 보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4월 도정질문에서는 오영훈 지사에게 “가족 중심 돌봄을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출산·양육 친화 환경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하며 정책 반영을 재차 요구했다.

당시 홍 의원은 “제주에서 조부모 돌봄은 이미 현실이지만 이를 인정하고 보상하는 정책은 부재하다”며 제도 마련을 촉구한 바 있다.

이러한 지속적 요구 끝에 제주도가 마침내 예산을 반영하면서, 조부모 돌봄을 제도권에서 인정하는 첫 단추가 끼워졌다. 이는 향후 제주 돌봄정책의 방향을 바꾸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홍 의원은 “아이 키우기 좋은 제주로 나아가기 위한 매우 의미 있는 진전”이라며 “수차례 논의 과정에서도 도가 사업 취지를 잊지 않고 예산에 반영해 준 점을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홍 의원은 사업 시행을 앞두고 어린이집이나 아이돌봄서비스 이용 가정의 신청 여부를 둘러싼 혼선이 도민사회에서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손주돌봄수당의 정확한 사업 대상과 기준을 사전에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고 도정에 주문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