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 김성환 장관은 14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의 2025년도 국정감사에 참석해 “탈탄소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국가 존속과 인류 생존을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새로 출범한 기후에너지환경부의 첫 국정감사에서 에너지 전환, 기후재난 대응, 환경권 보장을 3대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이날 김 장관은 인사말을 통해 “위원장님과 간사위원님들께서 협의하신 바에 따라 오는 16일 오후 2시에 에너지 분야 업무보고를 별도로 드리겠다”며 “23일 예정된 산하기관 국정감사 일정과 연계해 성실히 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지난 10월 1일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 이후 첫 국정감사를 맞아, 부처의 주요 정책을 보고드리고 위원님들의 고견을 듣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며 “이번 감사를 통해 추진 중인 정책을 다시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특히 급변하는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경고했다.
그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2025년 430ppm을 돌파했고, 지구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이미 1.5도를 넘어섰다”며 “이 추세가 이어지면 2030년 초반에는 450ppm을 돌파해 지구 온도가 2도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김 장관은 정부의 핵심 정책 방향으로 ▲탈탄소 사회경제 구조 전환 ▲기후재난 안전망 구축 ▲국민 환경권 보장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먼저 그는 “전력·산업·수송·건물·생활 등 전 분야에서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기반으로 녹색 전환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며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으로 에너지 체계를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또 “태양광, 풍력, 전기차, 배터리, 수소, 순환경제 등 탄소중립 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로는 “극한 홍수와 가뭄 등 기후재난에 철저히 대비하겠다”며 “지류·지천의 침수지역과 물 부족 지역을 중심으로 정밀 기후예측에 기반한 선제적 대응을 추진하고, 폭염과 한파 등 이상기후로부터 국민의 일상을 보호하기 위한 범부처 대책을 연내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장관은 “미세먼지 저감, 깨끗한 물 제공, 화학안전망 강화, 생태계 회복 등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고품질 환경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낙동강 물 문제, 수도권 생활폐기물, 가습기 살균제 피해 등 장기 갈등 현안을 해결해 국민 통합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김성환 장관은 끝으로 “위원님들의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해 대한민국이 탈탄소 녹색문명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