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외치며 화석연료 확대…산업부 이중잣대"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10-14 13:42:21 기사원문
  • -
  • +
  • 인쇄
▲서왕진 의원(조국혁신당)은 14일 국정감사에서 “산업부는 기업들이 LNG를 비선호한다는 입장을 확인하고도, 빠른 클러스터 조성을 이유로 LNG 발전소 건설을 밀어붙였다”고 질타  사진=국제뉴스 이용우기자
▲서왕진 의원(조국혁신당)은 14일 국정감사에서 “산업부는 기업들이 LNG를 비선호한다는 입장을 확인하고도, 빠른 클러스터 조성을 이유로 LNG 발전소 건설을 밀어붙였다”고 질타 사진=국제뉴스 이용우기자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정부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공급 대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입주 예정 기업들이 RE100 이행을 이유로 LNG 발전을 원치 않았음에도 산업통상자원부가 3GW 규모의 LNG 발전소 신설을 강행한 정황이 드러났다.

서왕진 의원(조국혁신당)은 14일 국정감사에서 “산업부는 기업들이 LNG를 비선호한다는 입장을 확인하고도, 빠른 클러스터 조성을 이유로 LNG 발전소 건설을 밀어붙였다”고 질타했다.

산업부가 주관한 2023년 4월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공급 TF 회의’ 자료에는 기업들이 고품질 전력과 저렴한 산업용 요금을 선호하며, RE100 특성상 LNG 자가발전은 비효율적이라는 평가가 명시돼 있다.

또한 태양광 자가발전 및 분산형 전원 활용이 RE100 목표 이행에 적합하다는 방향도 제시됐다.

그럼에도 산업부는 이후 TF 회의를 거쳐 노후 석탄발전소 6기를 LNG로 전환하는 3GW 규모의 상업용 발전소 신설을 결정했다.

이는 기업의 RE100 전략과 정면으로 충돌하며, 장기적으로 지역 갈등과 전력비용 상승 우려까지 낳고 있다.

서 의원은 “정부는 수도권 중심의 산업정책을 고수할 것이 아니라, 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호남 등으로 클러스터를 분산 배치해야 한다”며 “RE100을 지키는 클러스터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안은 정부가 기업의 지속가능 전략과 산업 현실을 외면한 채, 속도와 치적 중심의 정책을 강행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