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올해 서울지역 갭투자의 중심은 3040세대였으며, 이들이 조달한 자금의 63.4%가 차입금으로 구성된 것으로 드러났다.
1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이 밝힌 국토교통부 자금조달계획서 분석에 따르면 3040세대는 전체 5,673건 중 4,430건을 제출해 78%를 차지했다.
이들이 조달한 총자금은 약 6조 7,700억 원이며, 이 중 약 4조 2,900억 원이 차입금이었다.
자기자금의 주요 출처는 부동산 처분대금, 금융기관 예금, 증여·상속, 주식·채권 매각대금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증여·상속 비중이 높아 부모세대 자산이 갭투자에 활용되는 구조가 뚜렷했다.
이는 세대 간 자산 격차를 고착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문제는 이들 중 일부가 자기자금 없이 전액 차입금으로 주택을 구매했다는 점이다.
서울에서 3040세대가 차입금 100%로 집을 산 건수는 67건에 달하며, 강남 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에 집중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부동산 가격 상승 기대에 따른 과도한 레버리지 투자가 특정 지역에 몰리는 현상으로, 금리 인상이나 전세가 하락 시 전세보증금 반환 불능, 대출 상환 불이행, 연쇄 부도 등 금융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
차규근 의원은 "올해 3월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번복 이후, 1월 대비 차입금이 3.8배 급증했다"며 "이 같은 섣부른 정책 변화가 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줬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의 대출규제로 차입금은 줄고 있지만, 실효성 있는 수요 관리 정책이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흐름은 단순한 투자 트렌드를 넘어, 서울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불안정성과 정책 신호의 민감성을 드러낸다.
갭투자에 대한 제도적 점검과 금융 리스크 관리가 시급하다는 경고로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