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일보] 한국환경기술사회 홍순명 회장은 UNESCAP(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 이하 유엔 아시아태평양지역 본부)가 러시아 연방의 지원을 받아 8월 26일부터 27일까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Tauride 궁에서 열린 원탁회의에 참석했다.
홍순명 회장은 아시아태평양지역 환경 및 ICT 분야 전문가로 초청을 받아 27일 “Korea’s experience in digital public services for SMEs in the environmental fields”란 주제로 발표를 했다.
유엔 아시아태평양지역 본부(ESCAP, 2025)는 중소기업(SME)을 위한 디지털 공공서비스(DPS)에 필수적인 8개의 핵심 서비스 블록과 추가적인 5개 서비스 블록을 제시했으며, 기업 등록, 세금 준수, 공공 조달, 기술 개발 등이 포함된 이번 아시아태평양지역 원탁회의는 디지털 공공서비스 정책 결정자와 중소기업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한 일련의 국가 및 지역 협의를 마무리하는 행사로 진행됐다.
홍 회장은 환경 분야에서 중소기업들의 디지털 공공서비스에 대한 한국의 경험을 발표하며 “한국은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기 위해 다양한 디지털 공공서비스를 발전시켜 왔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혁신적인 기술과 중소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고 밝혔다.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제공하는 디지털 공공서비스의 환경 분야로 수질 및 대기질 모니터링, 불법 폐기물 관리, 홍수, 산불, 복합 재난 분야 등 중소기업들의 어떤 기술들이 적용돼 성과를 얻었는지 또한 한국수자원공사의 디지털 물관리 기술과 국내·외 성과 등을 발표했다.
또한 홍 회장은 “현재 디지털 공공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 부족, 높은 초기 투자 비용, 그리고 미흡한 법·제도적 기반이 문제”라고 지적하며, “지금부터 디지털 공공서비스를 위해 데이터 표준화 확보, 초기 투자 비용 부담 완화, 데이터 보안 기술 강화 및 강력한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한국 환경 기술 특화 중소기업들이 환경 분야에서 디지털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들이 앞으로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주체가 될 것이며 중소기업과 공공기관의 협력은 글로벌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유엔 아시아태평양지역 본부는 향후 아시아태평양지역 차원의 논의에서 디지털 공공서비스 평가 도구와 공통 접근 방식을 통해 아시아태평양지역의 디지털 정보 고속도로를 건설해 공동의 지역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협력과 중소기업 친화적 공공서비스를 아시아태평양 전역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