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윤충식 의원은 AI국을 대상으로 한 질의에서 ‘피지컬 AI 랩 구축 사업’의 예산 운용 계획을 꼼꼼히 살피며, 사업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윤 의원은 “도에서 제출한 계획에 따르면 피지컬 AI 랩 2개소를 구축하는 데 총 69억 5천만 원, 즉 1개소당 약 35억 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하지만 현재 확보된 10억 원 규모의 예산으로는 연내 가시적인 인프라를 구축하기에 물리적인 한계가 있을 수 있다”라며 우려를 표했다.
이는 단순히 예산 부족을 지적하는 것을 넘어, 첨단 기술 분야의 특성상 ‘적기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업의 완성도와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현실적인 진단에 따른 것이다. 윤 의원은 부족한 예산 상황에 맞춰 소극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기보다는, 추경 등을 통해 재원을 조속히 확보하여 사업의 속도를 높일 것을 주문했다.
특히 윤 의원은 전 세계 AI 산업의 흐름을 정확히 짚으며 경기도의 선제 대응을 강조했다. 그는 “현재 거대언어모델(LLM) 시장은 포화 상태에 이르렀으며, 이제는 AI가 로봇 등 하드웨어와 결합해 물리적 세계와 상호작용을 하는 ‘피지컬 AI’가 새로운 경쟁력의 척도가 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윤 의원은 “중국 등 경쟁국들이 휴머노이드 로봇과 피지컬 AI 분야에서 무서운 속도로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경기도가 이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단순한 신규 사업 출시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해당 분야를 경기도의 핵심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수반되어야 한다”라고 역설했다.
아울러 윤 의원은 “피지컬 AI야말로 경기도가 대한민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분야”라며 “집행부가 예산의 한계에 갇히지 말고, 보다 적극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해 경기도가 초격차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끌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AI국장은 윤 의원의 제안에 공감을 표하며, 예산 확보 노력과 함께 내실 있는 사업 추진을 통해 경기도가 AI 선도 지자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윤충식 의원은 앞으로도 미래 과학 기술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도민의 먹거리 창출과 직결되는 정책들이 실효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의회 차원의 지원과 감시를 이어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