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는 11일 서울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앞에서 홈플러스 김광일 대표와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 등에 대한 기소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임서우 기자]](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11/8446_15286_4540.png)
홈플러스 사태 관련 수사가 7개월 째 진척 없이 답보 상태인 가운데 피의자 신분인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 등이 면책 명분을 악용할 거란 주장이 나왔다.
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는 11일 서울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앞에서 홈플러스 김광일 대표와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 등에 대한 기소를 촉구했다.
비대위는 지난 4월 11일 김 대표와 김 회장 등 4인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검찰에 고소했다.
비대위는 홈플러스가 심각한 재정 악화와 회생 절차 개시 계획을 은폐한 결과 개인 투자자들이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를 안전한 상품으로 오인했다고 봤다. 그 결과 약 2000억원 상당의 투자금이 편취됐다는 게 고소장 내용이다. 비대위는 이날 “피해자들 대부분이 고령자, 은퇴자 등 생계형 투자자 및 소규모 법인으로 노후자금, 자녀 결혼 자금, 질병 치료 목적 자금 등 평생 모은 돈을 잃어 현재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비대위는 “현재 수사가 지연되는 상황이 계속된다면 피의자들은 이를 면책 명분으로 악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한 우려를 표명한다”며 “검찰은 홈플러스의 정상화를 위해 피의자들의 범죄 혐의를 명확히 규명하고 신속히 기소로 나아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금융정의연대 김득의 상임대표는 “지금이라도 수사해야 한다”며 “통상적으로 이렇게 시작된 수사가 6개월이 지나면 흐지부지되고 관련자들은 축소 기소되는 것을 봐왔기에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 역사상 사모펀드가 이렇게 한 기업을 인수해서 이익들은 자신들이 챙기고 손실이 나니까 사회에 떠넘기는 부도덕함에 대해서 검찰은 사법 정의가 있음을 보여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비대위 이의환 집행위원장은 더리브스 질의에 “검찰이 확실하게 수사 결과에 대한 중간발표라도 해야 한다”며 “빨리 결정을 내려서 내달 전에 윤곽이 나와야 한다”고 답했다.
임서우 기자 dlatjdn@tleav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