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황민우 기자]](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11/8441_15280_1538.jpg)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가전통신노조 쿠쿠지부는 11일 서울 강남구 쿠쿠홈시스 서울사무소 앞에서 '쿠쿠홈시스 매니저 미지급 수수료 지급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노조는 기자회견에서 “쿠쿠는 더 일하면 수수료가 줄어드는 불합리한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미지급된 수수료를 즉각 지급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쿠쿠홈시스가 월 170건 이하 점검에는 건당 8000원을 지급하지만 170건을 초과하면 수수료가 3500원으로 줄어드는 불합리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 노동에 다른 대가를 지급하는 이 구조는 업계 어디에도 찾아보기 힘든 ‘역전된 임금체계’라는 것이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가전통신노조 쿠쿠지부 남영희 수석부지부장은 11일 쿠쿠홈시스 본사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밀린 수수료 지급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전국가전통신노조 쿠쿠지부 제공]](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11/8441_15281_1550.jpg)
특히 지난해 9월 도입된 ‘웰컴서비스’ 제도에는 수수료가 0원으로 산정되는 계정이 점검 건수에 포함돼 정상 수수료를 받아야 할 업무까지 감액되는 사례가 속출했다는 게 노조 측 주장이다.
쿠쿠홈시스 매니저는 정수기·비데·공기청정기 등 제품을 방문 점검하고 영업을 병행하는 ‘특수고용직’으로 건당 수수료가 사실상 유일한 생계 수단이다. 노조는 “회사가 수수료 지급 기준을 임의로 변경하거나 감액해 매니저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쿠쿠홈시스는 지난 6월 한차례 일부 수수료를 수정 지급했지만 지난해 9월부터 올해 5월까지의 미지급분은 정산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기자회견에서 쿠쿠지부 김경효 지부장은 “매니저들은 이미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수준의 수수료를 받고 있다”며 “쿠쿠는 지금이라도 사과하고 미지급 수수료를 전액 지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비스연맹 법률원 오혜민 노무사는 “회사가 정당한 수수료를 지급하지 않는 행위는 민법 제390조의 채무불이행이자 제750조의 불법행위, 제741조의 부당 이득에 해당한다”며 “시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손해배상 청구 등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노조는 단체교섭 요구와 함께 ▲과도한 실적 압박 완화 ▲노동조합 활동 보장 ▲급여·수수료 인상 ▲복리후생 개선 등을 요구했다.
이와 관련해 쿠쿠홈시스 관계자는 더리브스와 통화에서 “회사는 정해진 기준과 절차에 따라 모든 수수료 지급을 완료했다”며 “‘웰컴서비스’는 필드 관리자들의 정책 개선 요청을 수용해 변경한 제도로 지급 의무가 확인되는 부분이 있다면 당사는 응당 지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점검 170건 기준은 고객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합리적인 한도”라며 “고객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근로자의 과도한 노동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 정책이다”고 덧붙였다.
마선주 기자 msjx0@tleav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