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동안 대부분 영화 티켓을 골랐고, 오늘도 있었으면 골랐을 거예요."
7일 오전 10시 30분께 헌혈의집 광화문센터에서 헌혈을 마친 최윤영(25)씨가 영화관람권이 빠진 기념품 리스트 중 수건을 고르며 말했다.
최씨는 "봉사 정신으로 헌혈하긴 하지만, 기념품도 헌혈할 때 중요한 고려사항"이라고 했다.
최씨의 사례처럼 전국 헌혈의집에선 9월 초부터 영화관람권 제공이 순차적으로 중단되고 있다. 적십자사의 영화관람권 조달 입찰이 6월부터 모두 유찰되며 재고가 떨어져서다.
적십자사가 제시한 구입가는 약 5천원으로, 시중가에 크게 못 미친다.
적십자사 관계자는 "혈액 사업 예산에 충당되는 '혈액수가 수입'은 한정적"이라며 "예산을 증액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적십자사는 대신 편의점 교환권, 보조배터리, 수건 등 다른 품목을 추가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가장 선호되는 기념품이 영화관람권이라는 평가가 많은 만큼 헌혈자 감소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보건복지부가 2021년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한 '국민 헌혈 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헌혈 기념품 제공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79.7%였고, 절반 이상이 영화관람권 등 문화 관련 기념품을 택했다.
헌혈 가능 인구(16∼69세) 가운데 실제 헌혈에 참여한 사람의 비율인 '국민 헌혈률'은 3.27%다. 2017년 이후 3%대에 머물며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극장 측 사정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2014년만 해도 7천∼8천원 수준이었던 영화 관람권은 현재 성인 2D 일반 영화 기준 주말 가격이 1만5천원 안팎으로 올랐다. 입찰가의 약 3배 수준이다.
CGV 관계자는 "좋은 취지인 것은 알지만 영화계 사정이 어렵다"며 "최소 절반 가격은 돼야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CGV는 올 초부터 입찰에 불참했다.
가장 최근까지 영화관람권을 공급했던 롯데시네마 관계자도 "사회공헌 차원에서 계속 참여했는데 더는 어렵게 돼 아쉽다"고 했다.
현실적인 대안은 헌혈자의 관심을 끌 다른 기념품을 확보하고, 여러 차례 헌혈한 사람에 대한 우대를 강화하는 게 꼽힌다.
광화문센터에서 만난 이영호(42)씨는 "서점 10% 할인권이나 워터파크 할인권 등 다양한 상품을 추가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적십자사 관계자는 "많은 분이 기념품과 관계없이 꾸준히 헌혈에 참여하고 있다"면서도 "다양하고 의미 있는 기념품과 혜택을 계속 발굴하겠다"고 전했다.(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