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홈플러스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 금융정의연대,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 등 시민사회단체는 5일 서울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국민연금공단 충정로사옥 앞에서 ‘홈플러스 파탄, 국민연금 투자 실패 규탄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사진=임서우 기자]](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09/8086_14789_3655.png)
“이익은 사유화하고 손실은 사회화하는 구조를 막아야 한다.”
금융정의연대 김득의 상임대표가 5일 서울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국민연금공단 충정로사옥 앞에서 개최된 ‘홈플러스 파탄, 국민연금 투자 실패 규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
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홈플러스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 금융정의연대,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 등 시민사회단체는 이날 국민연금공단에 요구서를 전달했다.
이들 단체는 국민연금이 MBK파트너스를 최소 3년 이상 위탁운용사 선정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국민연금이 사모펀드에 스튜어드십 코드를 적용해 수탁자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이들 단체는 주장했다. 국민연금이 투자기업의 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범위를 사모펀드까지로 확장해야 한다는 얘기다.
![시민사회단체가 국민연금 측에 요구서를 전달하고 있다. [사진=임서우 기자]](https://cdn.tleaves.co.kr/news/photo/202509/8086_14790_3812.png)
이들 단체는 국민연금이 홈플러스 투자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됐다고 지적했다.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할 당시 국민연금은 특수목적법인(SPC)인 한국리테일투자를 통해 총 6121억원을 투자했다. 이는 상환전환우선주(RCPS) 5826억원, 보통주 295억원으로 구성됐다.
RCPS는 손실 가능성이 높아졌고 보통주의 경우 전액 손실 처리되면서 국민연금이 막대한 재정적 피해를 입게 됐다고 이들 단체는 비판했다. 미회수 금액의 공정가치는 9000억원에 달한다.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 은성진 사무국장은 “정부가 MBK를 철저히 조사해 책임을 묻게 하는 건 물론 국민연금은 MBK에 투자한 금액을 전액 회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상임대표는 더리브스 질의에 “MBK가 돌려막기 할 수 있게 국민연금이 도와준 것”이라며 “국민연금이 피해를 키웠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국민연금은 지난 2015년 홈플러스에 총 6121억원을 투자했으며 현재까지 리파이낸싱 및 배당금 수령을 통해 RCPS 3131억원을 회수했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더리브스 통화에서 “회생 절차 및 진행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투자금 회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일축했다.
임서우 기자 dlatjdn@tleav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