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강희 의원은 경주가 해안과 내륙을 모두 갖춘 지형적 특성, 풍부한 일조량, 농·축산업 기반 등 재생에너지 확산에 유리한 조건을 지닌 도시임을 언급하며 "태양광, 풍력, 지열, 바이오가스 등 다양한 에너지원의 복합 활용이 가능한 도시임에도, 현재 재생에너지 사업은 개별 민간 사업자 위주의 수익 구조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정 시설이나 축사 중심의 재생에너지는 개인 수익만 확대되고 지역의 장기적 에너지 구조 개선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재생에너지를 주민 소득과 지역 순환경제로 연결하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공재생에너지 정책 전환을 위해 ▶중앙정부 공모사업 및 기금 활용을 통한 재원 확보 ▶인구소멸 대응기금·기후위기 대응 기금의 효율적 배분 ▶공공주도형·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사업 추진 등을 주요 대안으로 제시했다.
특히 이 의원은 "태백 가덕산 풍력, 새만금 태양광, 신안과 제주 등 이미 전국 곳곳에서 주민참여형 모델이 성공 사례로 자리 잡고 있다"며 "제주도가 에너지 특보 제도 도입, 풍력 대학원 유치 등을 통해 지역 스스로 에너지 정책을 견인하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경주의 자연환경이 훼손되지 않도록 관리하면서, 지역 농어촌의 기본소득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경주의 미래 경쟁력"이라고 강조하며 "지속가능한 경주와 미래 세대를 위해 공공재생에너지 정책 도입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소리를 높였다.
이강희 의원은 "경주의 바람과 햇빛은 공공재"라며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정책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공공기관이 함께 협력해야 한다"고 발언을 마무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