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수교육 현장에서 문제행동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전문가 부족으로 교사·학생 모두가 겪는 어려움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조용진 의원은 현재 경북 특수교육 현장에 행동중재전문가 3명, 연수 이수자 48명만 배치돼 있는 현실을 언급하며 “필요한 인력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며 “지금의 구조로는 학교 현장의 요구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경북도교육청은 행동중재지원단을 운영하며 연수 이수자들이 방과 후 지원을 하고 있지만, 행동중재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는 ▶석사학위 취득 ▶1,500시간 실습 ▶75시간 슈퍼비전 등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조 의원은 “높은 자격 기준과 실습 부담으로 신규 전문가 진입이 사실상 막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특수교원 정원 자체가 부족한 상황에서 연수·실습 과정 중 발생하는 출장 및 휴직 부담이 교사 개인과 학교에 과도하게 전가되는 점도 문제로 제기했다.
그는 “교사들은 승진이나 경력 관리를 위한 교육이 아니라 장애학생을 위한 전문성 강화를 위해 시간을 쏟고 있다”며 “교육청이 공식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 의원은 초·중등특수 교과교육연구회를 활용한 전문성 강화 방안도 제안했다. 그는 “경북 특수교사가 가장 많이 참여하는 연구회임에도 ABA 핵심 역량 관련 세미나는 거의 없다”며 “하계·동계 연수에 ABA 세션을 의무화하거나 연구 주제 권장, 가점 부여 등 정책적 유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질의 마무리에서 조 의원은 “행동중재 전문가는 장애학생의 학교 적응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는 핵심 인력”이라며 “교육청이 연수–실습–슈퍼비전–지도자 양성까지 내부 순환구조를 조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에 대해 박현숙 경북도교육청 정책국장은 2026년까지 행동중재전문가 연수 누계 103명 확보, 연수비 지원 및 해외 사례 탐방 추진, 8개 특수학교 대상 행동중재 프로그램 확대(예산 1억5000만 원~2억5000만 원) 등을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