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산불재난을 이기는 사람의 힘'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11-18 21:05:39 기사원문
  • -
  • +
  • 인쇄
[기고문] 전세계적으로 산불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 중에 ‘풀라스키’라는 것이 있다. 도끼와 곡괭이를 합쳐놓은 외양인데, 진화를 위해 나무를 베고 흙을 파내는데 많이 사용되는 장비이다.

산림청 산림교육원 최은형 원장.
산림청 산림교육원 최은형 원장.

미국의 전설적인 산림 공무원인 에드 풀라스키(Ed Pulaski)가 고안했다고 알려져 있다.

1910년 8월 미국 아이다호주 로키산맥 지역에 큰 산불이 났다.

풀라스키는 45명의 대원을 이끌고 산불을 진화하던 도중에 돌풍으로 순식간에 고립되고 만다. 겁에 질린 대원들이 각자 흩어지려 하자, 그는 인근의 폐광 갱도를 기억해내고 대원들을 대피시켰다. 하지만 산불이 갱도 입구까지 덮쳐 유독가스가 유입되자, 몇몇은 공포에 질려 밖으로 뛰쳐나가려고 했다.

그러자 그는 권총을 겨누며 자리를 지킬 것을 명령했고, 쏟아지는 불똥을 막으며 사투를 벌인 끝에 45명 중에 40명이 살아남게 된다. 자신도 눈과 폐에 손상을 입게 된다. 평소 관할구역을 구석구석 살피며 지역의 지형과 산불의 행동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한 풀라스키의 판단력과 리더십이 빛을 발한 순간이었다.

100여년이 지난 지금의 산불현장에서는 발전된 기술과 장비의 도입으로 산불대응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빅데이터를 토대로 산불의 진행을 사전에 예측하고, 실시간 데이터 전송으로 진화자원의 효율적 배치와 운용을 도와준다.

헬기와 지상진화 장비의 성능은 계속 진화하고 양도 늘어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후환경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피해 규모는 점점 커지고 있다. 결국 극한의 불확실성 속에서 의지할 수 있는 것은 ‘사람의 힘’이다. 그리고 그 사람의 역량을 결정짓는 것은 교육훈련이다.

풀라스키의 사례를 교과서 중심의 매뉴얼 교육의 성과라고 보긴 어렵다. 자신이 일하는 현장(숲)에 대한 깊은 이해와 극한의 압박감 속에도 냉철하게 판단하고 결정을 집행할 수 있는 내재화된 리더십 훈련의 결과라고 봐야 한다. 그의 훈련된 경험과 결단력은 귀중한 생명을 구하였고, 그가 고안한 ‘풀라스키’는 현장경험이 어떻게 교육자산이 될 수 있는가를 잘 보여준다.

산불대응에는 리더십 못지 않게 ‘예방적 집단지성’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현대과학의 힘을 체계적으로 잘 활용하여 재난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도 교육의 역할은 필요하다. 산불예방교육, 숲가꾸기 등 과학적인 연료 관리, 드론 장비 활용 등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는 많다. 그리고 산불대응에서 산림공무원 외 군, 소방 등과의 협력이 중요해지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산불재난에 맞서는 힘은 장비나 기술과 함께 잘 훈련된 사람에게서 나온다. 현장지휘자에서 진화대원 그리고 일반 국민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위기 속에서도 최선의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재난에 대비하는 가장 확실하고 중요한 투자일 것이다.

외부기고 및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