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북한이 노동당 창건 80주년을 앞두고 무장장비 전시회 ‘국방발전-2025’를 통해 전략무기들을 대거 공개하며 대남 타격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9일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실이 밝힌 분석 자료에 따르면, 북한은 전술핵공격잠수함과 핵추진 잠수함에 탑재할 신형 전략 SLBM 2종을 공개했다.

‘북극성-5’보다 크고 탄두부가 뭉툭한 형태의 SLBM은 탑재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직경이 작은 SLBM은 수직발사관 탑재형으로 추정된다.
초음속 순항미사일도 2종 개발 중이다.

러시아의 3M-54E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 대함미사일은 사거리 200km 이상일 경우 서북도서에서 작전 중인 우리 해군 함정이 북한 신형 구축함의 사정권에 들어간다.

특히 마하 2.9 속도로 해수면 4.6m 고도에서 시스키밍 비행하는 종말단계 특성상, 대응시간이 극히 짧아 근접방어무기 외에는 요격이 어렵다.
우리 군의 초음속 대함미사일 요격체계인 CIWS-II는 2030년 전력화 예정으로, 수년간의 방어 공백이 불가피하다.
북한은 신형 구축함 ‘최현함’을 통해 장거리 함대지·함대함 공격 능력을 과시했다.

VLS는 24셀로 확대됐고, 근접방어무기는 레이다와 EOTS가 통합된 신형으로 교체됐다. 내부에는 수술실까지 갖춰져 있어 전투 지속 능력까지 고려된 설계로 평가된다.
김정은은 성능 평가 착수를 지시했으며, 후속함인 강건함과 3번함에 기술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재래식 무기 현대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폭압탄 방식의 하드킬 전차 능동방어체계는 대응탄 요격시험까지 선보였지만, 우리 군은 2026년 개발 완료를 목표로 아직 시험조차 진행하지 못한 상태다.
초음속 공대함미사일 사업은 장거리 교전 확률이 낮다는 이유로 사업타당성 미확보 결론이 내려질 가능성이 높다.
유용원 의원은 “북한의 무기 개발은 러시아의 군사지원과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우리 군은 기술적 대응뿐 아니라 전략적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단순한 무기 경쟁이 아니라, 전력 운용 방식과 R&D 구조 전반에 대한 재설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