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혁 "민주당 공화국 만들기 100일"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09-12 12:07:16 기사원문
  • -
  • +
  • 인쇄
▲국민의힘은 12일 오전 국회에서 이재명 정부 100일 국정 파탄 실정 토론회를 개최하고 있다./사진=이용우 기자 
▲국민의힘은 12일 오전 국회에서 이재명 정부 100일 국정 파탄 실정 토론회를 개최하고 있다./사진=이용우 기자

(서울=국제뉴스) 구영회 기자 =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이재명 정부 100일은 헌법제 1조 규정된 민주공화국을 해체하고 민주당 공화국을 만들기 위한 100일 였다"고 거듭 밝혔다.

장동혁 대표는 12일 국회에서 이재명 정부 100일 국정 파탄 실정 토론회 인사말을 통해 "특검수사는 말할 것도 없고 내란특별재판부까지 만들겠다고 하고 사법부와 검찰도 해체하려 하고 있고 자유시장경제를 파탄내고 사이비 586경제를 시험하려 하며 나랏빚 2000조 시대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대통령이 있어야 할 곳은 보이지 않고 대통령이 없어도 되는 곳에서만 대통령이 보이는 100일 였다"며 "관세협상 중요한 국면마다 그리고 조지아주 사태 이런 대통령이 꼭 있어야 할 자리에는 대통령이 보이지 않았고 100일 동안 미국에서 뺨 맞고 와서 여의도에서 화풀이 하는 그런 100일의 연속였다"고 비판했다.

또 "100일 취임 기자회견에서도 날카로운 기자들의 질문에 그 어떤 답하나 제대로 된 내용을 찾아볼 수 없었고 무엇인 이재명 정부의 국정 철학인지?,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대통령이 내놓은 것은 그저 종합적으로 잘 듣고 무엇을 하겠다는 것인지 그 어떤 내용도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장동혁 대표는 "아무리 대통령이 포장하려 해도 곧 그 바닥은 드러난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토론회에서 이재명 정부의 100일의 실체가 어떤 것인지 국민들께서 확인하실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정부 100일 간의 주요 실정 사례를 엮은 국정 파탄 실정 사례집을 발간했다.

이 사례집에는 100일이라는 시간 동안 겉으로는 회복과 성장을 내세우면서 실제로는 민생 몰락과 경제 파탄을 가속화하며 야당 말살 폭주를 일삼은 이재명 정부와 여당의 주요 실정 사례 40건을 포함했다.

정치 파탄 분야에서는 이진숙·최교진 교육부장관 후보자와 강선우 여성가족부 후보자 지명, 최동석 인사혁신처장 임명을 비롯해 인사청문회 제도를 무력화한 정부여당발 인사 참사를 상세히 제시했다.

사법부·검찰·언론 장악 및 야당 탄압·패싱으로 일당독재의 서막을 열고 있는 악행과, 여론 비판에도 일상화된 내로남불식 내 편 챙기기에 대한 사례도 담았다.

- 최근 발표한 정부의 기후환경에너지부 확대 개편안을 포함해국익보다는 정치 논리를 앞세운 이재명 정부의 실정도 질책했다.

‘경제 실정’ 영역에서는 국민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경제 정책 대부분을 졸속으로 추진하고 ‘문제 시 수정’하겠다는 무책임한 당·정·대 행태를 고발했다.

경제계의 지속적인 우려 표명에도 강행한 상법과 불법파업 조장법 개악, 기업과 자본시장의 성장을 저해하는 반시장적 과세 정책 등 반경제 입법·정책을 지적하고두 차례에 걸친 실속 없는 맹탕 부동산 정책 발표와 치솟는 밥상 물가, 늘어나는 ‘쉬었음 청년’, 금융소비자의 부담으로 돌아올 관치금융 등 민생을 파탄내는 경제 정책을 비판했다.

‘외교·안보 참사’와 관련해서는 최근의 미국 조지아 사태를 포함하여 실익 없이 외교적 선언만 난무하는 대미외교 정책과 국가 경제를 파탄낼 위기에 처한 대미 관세협상 실패를 집중적으로 다뤘다.

또 전략 부재로 인한 대중·대러 외교 실패와 해양주권을 침해하는 서해 불법 구조물 방치 지적을 포함해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굴종적 남북관계 전반을 △원칙없는 남북대화 집착 △대북전단 금지 △전작권 폐지 국정과제 추진 △9.19 군사협정 복원 등의 측면에서 고발했다.

마지막으로 미래 세대의 어깨를 짓누르는 선심성 정책 남발과 AI 교과서 혼란 등으로 인한 저소득층 아이들의 교육 기회 박탈 등 미래세대 부담 가중 실정도 지적했다.

또한 △묻지마 채무 탕감 △일회성 현금 살포 △직장인 밥값 지원 등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것으로 보이는 포퓰리즘 정책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