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수시 원서접수 D-6...'이것' 확인해야 편하다!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09-02 14:48:17 기사원문
  • -
  • +
  • 인쇄

오는 9월 8일, 2026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원서접수가 시작된다.

4년제는 9월 8일(월) ~ 12일(금) 중 3일 이상, 전문대학(교)은 9월 8일(월) ~ 9월 30일(화) 접수가 이뤄진다.

대학별로 접수기간이 상이하므로, 본인이 지원하려는 대학의 접수 일정을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진학사 원서접수 서비스의 유용한 기능과, 수험생들이 유의해야 할 체크포인트를 정리했다.

Q&A로 정리하는 수시 원서접수 체크포인트 (자료=진학사)
Q&A로 정리하는 수시 원서접수 체크포인트 (자료=진학사)

수험생들이 자주 묻는 질문, 원서접수 시 유의해야 할 포인트를 Q&A형식으로 정리해 보았다. 원서접수 과정에서 놓치는 부분이 없도록, 꼼꼼히 체크해야 한다.

Q1. 공통원서는 모두 필수로 작성해야 하나요?

A1. 공통원서는 수시 지원자라면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필수사항이다. ‘공통원서’에는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이메일, 연락처, 학교정보, 환불계좌 입력란이 포함되며, 입력된 내용은 지원하는 대학 모두에 공통으로 적용된다.

공통원서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정 후 대학별 원서 페이지에 다시 들어가면 가장 최근에 작성한 ‘공통원서’ 정보를 다시 불러올 수 있다. 다만 이미 결제가 완료된 원서에는 수정사항이 반영되지 않으니 반드시 결제 전에 확인하고 틀린 정보는 미리 수정하자.

Q2. 원서만 저장하면 끝난 건가요?

A2. 원서접수는 원서작성 및 저장 후 결제까지 해야 완료된다. 결제 후 수험(접수)번호를 확인했다면, 원서접수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이다. 또한 2개 이상의 원서를 지원하더라도 각각 개별 결제하던 기존방식 이외에 일괄 선택하여 한 번에 결제할 수 있는 묶음결제 기능이 있다. 단, 묶음결제는 각 대행사의 원서끼리만 가능함을 유의하자.

원서 결제 수단에는 진학캐쉬, 신용카드, 계좌이체가 있다. ‘진학캐쉬’란 원서 결제 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충전식 결제 방법이다. 미리 충전해 놓으면 보다 쉽고 빠르게 접수할 수 있다. 수험생들이 접수 마감시간까지 경쟁률을 확인하며 고심하다 보면, 간혹 결제하다가 마감 시간을 넘기는 경우도 발생한다. 클릭 한 번으로 결제 가능한 진학캐쉬를 미리 준비해두자.

Q3. 원서 외에 제출할 서류가 있나요?

A3. 지원 대학, 전형, 학과에 따라 제출할 서류가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원서접수 완료 후 제출서류 목록을 꼭 확인하도록 하자. 제출해야 할 서류를 누락하면 지원 결격사항에 해당되어 불이익을 당하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Q4. 원서 내용을 잘못 입력했는데 수정 가능 한가요?

A4. 전형료를 결제하기 전과 원서 저장만 했을 경우에는 수정이나 삭제가 가능하다. 하지만 결제 후에는 수정이나 취소를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원서를 작성한 후에는 신중하게 내용을 다시 한번 검토한 후에 결제해야 한다.

Q5. 작년 수시/정시모집 때 접수했던 아이디로 로그인이 안돼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5. 진학사 원서접수 사이트는 개인정보 취급 방침에 따라 1년마다 회원정보를 삭제하고 있다. 따라서 작년에 가입한 ID가 있더라도, ‘통합회원 가입’을 다시 해야 한다.

통합회원가입을 하면 하나의 아이디로 모든 대학에 지원이 가능하고 개별 회원(대행사별 아이디)은 각 대행사에서 제공하는 대학에만 지원이 가능하므로 통합회원으로 가입하도록 하자.

Q6. 경쟁률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A6. 진학사 원서접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SMART 경쟁률’에서 대학별 경쟁률을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 경쟁률은 다양한 조건의 검색필터를 활용하여 실시간 경쟁률과 더불어 최근 3년간 경쟁률도 한눈에 볼 수 있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소장은 “원서접수 과정에서 실수를 범해 합격이 취소되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보게 된다. 그동안의 노력이 물거품되지 않도록, 유의사항을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