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안선영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2025년 소상공인 상생협업교육(소상공인 AI 활용 교육)'에 참여할 소상공인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소상공인의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에 대해 이해하고 실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마련하였으며, 민간 인공지능(AI) 기업과 협업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본 교육은 '26년 소상공인 인공지능(AI)교육 과정 체계화를 위한 시범사업으로, 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커리큘럼)·운영체계 등을 정비하여 차년도 사업에 반영할 계획이다.
현장 교육은 서울, 경기, 광주, 대전, 대구, 부산, 제주 7개 지역에서 교육과정이 개설되고 기관별 교육 내용, 교육 장소, 교육 일정 등을 고려하여 신청하면 된다. 다만, 최대한 많은 소상공인의 참여를 위해 1개 기관의 1개 과정만 참여하는 것이 원칙이다.
현장 교육에 참여하기 어려운 소상공인은 유튜브 채널(공사장TV)을 통해 실시간으로 교육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소상공인 전용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소상공인 지식배움터'를 통해 관련된 인공지능(AI) 교육 콘텐츠도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는 서울, 부산, 광주의 네이버 스퀘어에서 4회의 현장 교육을 개설할 계획이다. 네이버의 전문 강사진이 화장품(뷰티), 쇼핑, 외식 분야 소상공인에게 필요한 인공지능(AI) 교육을 클로바X(Clova X)를 활용하여 진행한다.
카카오는 제주, 경기, 서울, 대전에서 관광, 외식, 서비스, 제조 등 다양한 분야의 소상공인에 대한 인공지능(AI) 교육을 준비하고 있다.
챗GPT, 미드저니(Midjourney), 카나나(Kanana) 등을 활용하여 교육을 운영하며, '카카오테크 AI-스쿨 사장님 클래스'에서 활동 중인 인공지능(AI) 교육 전문가가 오프라인 강사로 참여한다.
이대건 소상공인정책관은"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소상공인도 인공지능(AI) 활용능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며, "향후 다양한 민간 인공지능(AI) 선도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소상공인 인공지능(AI)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