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 국회미래연구원(원장 김기식)은 29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제3회 국회미래산업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피지컬AI 시대 제조경쟁력 강화’를 주제로 발제와 토론이 이뤄졌다.
개회사에서 김기식 원장은 “세계 경제 질서의 대전환과 지정학적 위기 속에서 대한민국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는 국가적 과제”라며 “특히 AI가 물리적 세계와 융합하는 피지컬 AI 시대는 산업 생태계가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것이며, 피지컬 AI를 통한 제조혁신은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발제에서 장영재 KAIST 교수는 ‘제조 피지컬 AI를 통한 제조 산업의 생태계 구축’ 주제를 통해 “피지컬 AI(Physical AI)는 물리적인 시공간을 이해하고 그 맥락을 파악해여 인간의 시공간 지능을 모사하는 것으로, 단순한 정보처리에 머물지 않고 ‘움직이는 지능’을 구현하는 기술”이라면서, “기존 IT 기반 AI와는 달리 하드웨어에 기반한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장 교수는 “급격한 인력 감소와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부분적 자동화를 넘어 완전 무인·자동화 공장, 즉 다크팩토리(Dark Factory)의 구현이 필수적”이라 “이제는 물건을 만드는 제조가 아닌, 제조 SW 및 제조 노하우를 수출하는 산업으로 도약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을 창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민정국 현대자동차 상무는 ‘Physical AI로 여는 자동차 제조 혁신: 전략과 적용 사례’ 발제에서, “현재 자동차 산업은 전기자동차에서 SDV(software defined vehicle)로 진화하고 있다”며 “데이터와 AI를 기반으로 스스로 판단하고 최적화하며 24시간, 7일 내내 가동되는 ‘지능형 자율공장’을 생존전략으로서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민 상무는 우리나라의 제조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제조 AI 얼라이언스’가 필요하다면서, ▲정부 주도의 제조 AI 데이터셋 구축 및 데이터 이니셔티브 참여, 국가 차원의 제조 데이터 표준화 및 공유 플랫폼 구축, 제조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및 국산화 지원, 지역 거점 AI 전문인력 양성 및 실증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발제 이후 박수경 KAIST 교수가 좌장을 맡은 패널 토론에서는 박민규 더불어민주당 의원,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과 함께 송영진 산업부 산업AI 혁신과장, 김민우 삼성글로벌리서치 리서치펠로우, 이규석 SK이노베이션 DX실장, 김유철 LG AI연구원 전략부문장, 정문식 서울대학교 교수, 이승환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이 참여해 피지컬 AI 시대의 제조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 활발한 토론을 진행했다.
또한 이번 포럼에는 토론자로 참여한 박민규, 최형두, 이해민 의원 외에도 이철규 위원장(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안호영 위원장(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이 참석해 축하의 뜻을 전했다.
한편 국회미래연구원은 지난 4월, 위기에 직면한 우리 산업의 재도약을 모색하기 위해 여야 정당과 정부, 산업계, 공공․민간 연구기관 등 각계 전문가가 모이는 플랫폼으로서 ‘국회미래산업포럼’을 발족했으며, 이번 포럼에 이어서는 전기차 배터리 연계 V2G 주제로 후속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