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창욱 부위원장은 방만예산, 중복사업, 부실계획, 시군 재정 부담 심화 등을 핵심 문제로 지적하며 대폭적인 구조 개선을 촉구했다.
박 부위원장은 농축산유통국 소관 1조1334억 원 예산 심사에서 경북의 농업·농촌 예산 비중이 최근 3년간 정체되거나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도 전체 예산 대비 해당 비중은 2024년 9.42%, 2025년 9.46%, 2026년 9.17%로 떨어지고 있다.
그는 "경북이 스스로를 '농도(農道)'라고 말하지만 예산 구조만 보면 농업과 농촌은 오히려 뒤로 밀리고 있다"며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예산 확보에 목표를 두고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과 관련해 지방비 60% 부담 체계에도 우려를 나타냈다. 이 사업은 영양군을 포함한 7개 군에서 시행 중이며 추가 지정 가능성도 높다.
박 부위원장은 "지방재정이 취약한 군 지역은 기존 사업을 줄이거나 포기해야 할 정도로 압박이 심하다"며 "경북도가 중앙정부에 국비 비중 확대를 적극 요청하고 자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양수산국 예산 심사에서는 내수면관상어비즈니스센터 관련 예산이 도마 위에 올랐다.
상주에 위치한 이 센터는 지난해 청사를 준공했음에도 내년도 예산에 외부 환경정비, 비바리움 연구시설, 전시·홍보관 조성 등 10여억 원이 다시 편성됐다.
박 부위원장은 "준공한 지 1년도 안 된 시설에 추가로 수십억을 투입하는 것은 설계 부실이거나 명백한 사업 쪼개기"라며 "핵심 시설인 비바리움 연구시설을 최초 계획에 포함하지 않은 것 자체가 행정의 신뢰성을 떨어뜨린다"고 지적했다.
농업기술원 예산에서도 농업대전환 관련 사업이 농축산유통국과 중복 편성된 점을 문제로 삼았다.
박 부위원장은 "농업대전환 사업은 이미 여러 해 동안 실증이 진행돼 왔는데 여전히 시범사업과 신규사업이 반복되고 있다"며 "특화작목·혁신벨트·전략특구 등 유사사업이 부서별로 중복되면서 시군 매칭 부담만 늘어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군 부담이 커지면 지역 특화작목 육성 등 진짜 필요한 사업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구조적 재편을 요구했다.
박창욱 부위원장은 "2026년 예산안은 농업·수산·기술 분야 전반에서 구조적 문제가 드러난 예산"이라며 "말로는 농업과 어업을 외치지만 실제 예산은 감소하거나 중복되고, 새 건물에는 추가 비용이 반복 투입되는 비효율적 구조는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도민의 혈세가 꼭 필요한 곳에 사용되도록 예산 우선순위를 새로 정하고 성과 중심 체계로 전환하겠다"며 "편성뿐 아니라 집행 과정까지 철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