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박종진 기자 = 대출 규제 강화로 근로자햇살론, 햇살론 15 등 서민금융상품을 이용하는 최저신용자가 대부업, 저축은행, 카드론 등 다른 금융권에서 빌린 대출규모가 1년 새 약 26조 원이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신용등급 20% 이하인 금융취약계층의 절반이 대출을 의존하고 있는 '최후의 보루'인 대부업에서 받은 대출규모가 1년 새 약 12조 원으로 가장 많이 줄었다.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법정 최고금리 인하 여파로 대부업이 대출 문턱을 높인 결과로 해석된다.
이양수 국회의원(국민의힘, 정무위원회, 강원 속초·인제·고성·양양)이 서민금융진흥원과 KCB에게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민금융상품을 이용 중인 금융취약계층이 다른 금융권에서 빌린 대출잔액은 지난 2022년 9월 말 95조 2758억 원에서 2023년 9월 말 69조 1205억 원으로 1년 새 26조 1553억 원 감소했다.
특히 대부업에서 받은 대출 잔액이 1년 새 약 12조 3145억 원 줄어드면서 감소폭이 가장 컸다. 이들은 은행에서는 같은 기간 받은 대출 잔액이 20조 3457억원에서 13조 3767억원으로 6조 9690억원 줄었고, 저축은행에서는 3조 1641억원, 캐피탈·카드론 등 그외 업권에서는 3조7077억원 감소했다.
같은 기간 대출금액 잔액 비중은 대부업과 저축은행은 각각 1%p 늘었고, 은행에서 2%p 줄었다.
그외 업권의 비중은 같았다. 차주(채무자수)의 비중은 은행이 같은 기간 1%p 줄었고, 저축은행이 1%p 늘어났다. 대부업과 그외 업권 비중은 동일했다.
근로자햇살론, 햇살론15, 햇살론뱅크, 최저신용자특례보증 등 서민금융상품을 이용하는 차주들은 개인신용평점 하위 20% 이하의 최저신용자들이다. 햇살론 15는 신용평점 하위 20%만 이용할 수 있고, 최저신용자특례보증은 신용평점 하위 10%로 햇살론 15보다 더 낮다.
정부의 대출관리 강화의 여파로 은행이 개인신용대출을 조이자, 최저신용자들은 저축은행과 대부업, 캐피탈 등 2금융으로 몰렸지만 정작 2금융도 연쇄적으로 대출문턱을 높이면서 이들의 대출잔액이 1년 새 26조원 감소했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금융취약계층에게 최후의 보루로 꼽히는 대부업에서 대출규모를 1년 새 12조원 축소하면서 이들이 불법사금융으로 내몰릴 우려를 높이고 있다.
이양수 의원은 "금융취약계층이 대부업에서도 외면받고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수 있다”며 “서민금융상품을 이용하는 금융취약계층이 다른 금융권에서 대출을 69조원, 특히 대부업에 절반을 의존하는 것도 문제로, 서민금융정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