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식약처의 간장 유형 단일화 검토에 시민사회와 정치권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화성시갑)은 13일 “전통 발효 방식과 화학 분해 방식의 간장을 같은 이름으로 묶는 것은 소비자 기만이며, K푸드의 근간을 흔드는 결정”이라고 밝혔다.
식약처는 현재 한식간장, 산분해간장, 양조간장 등 5종으로 나뉜 간장 유형을 ‘간장’으로 단일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지난해 8월 중소기업중앙회 간담회에서 장류협동조합이 간장 유형 통합을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시민사회는 “식품공전 개악”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전국먹거리연대, 간장포럼, 두레생협연합회 등 15개 단체는 ‘장류 식품공전 개악 저지를 위한 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식약처의 간장 단일화 추진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산분해간장의 안전성 논란도 재점화됐다.
식약처는 지난 4월과 6월, 발암 가능 물질인 3-MCPD가 기준치를 초과한 산분해·혼합간장 8종을 전량 회수했다.
해당 물질은 염산으로 콩단백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유럽 기준(0.02㎎/㎏ 이하)보다 엄격한 국내 기준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으로 검출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역시 간장 유형 통합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관계자는 “전통장류육성법 실태조사에 착수했으며, 식품공전에서 간장 유형이 사라지면 전통식품 육성에 큰 차질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송 의원은 “전통식품을 지키는 일은 K푸드의 세계화 역량을 키우는 일”이라며 “몇 시간 만에 화학적으로 대량 생산한 간장과 수개월간 발효시킨 전통 간장을 어떻게 같다고 할 수 있냐”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