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도 직격탄…‘소비 절벽’에 분기 매출 12년 만에 감소

[ 사례뉴스 ] / 기사승인 : 2025-05-12 01:38:38 기사원문
  • -
  • +
  • 인쇄
[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편의점 매출이 12년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1분기 편의점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4% 줄었다. 2013년 해당 통계 조사가 시작된 후 첫 감소로, 점포 수 감소도 최초다.



한국편의점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편의점 4사(CU·GS25·세븐일레븐·이마트24) 점포는 2023년 말 5만 5202곳으로 정점을 찍은 후 지난해 말 5만 5194곳으로 소폭 감소했다. CU 운영사인 BGF리테일과 GS25의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7%, 34.6% 감소했으며, 15일 실적을 발표할 세븐일레븐도 적자 흐름이 예상된다.




편의점에서 물건을 구매하고 있는 소비자의 모습[출처:BGF리테일]
편의점에서 물건을 구매하고 있는 소비자의 모습[출처:BGF리테일]




그간 빠르게 점포 수를 늘리며 덩치를 키워 온 편의점 시장이 포화에 이르렀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국내 편의점은 ‘편의점 왕국’으로 불리는 일본과 유사한 점포 수를 가지고 있다. 일본프랜차이즈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일본 편의점은 5만 5736곳으로, 5만 5194곳의 한국과 큰 차이가 없다.



이커머스 사업 확장도 편의점 성장을 멈춘 지대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커머스가 식품군까지 영역을 확대하면서 편의점 전체 매출의 55%를 차지하는 식품 실적이 타격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2월 편의점 식품군 매출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10.7%였지만, 지난 2월엔 5.4% 감소했다. 반면 온라인 식품군 매출 상승률은 지난해 2월 36.2%를 기록한 후 지난 1년간 평균 21%를 유지 중이다.



더불어, 초저가 출혈 경쟁이 편의점 업계 수익 감소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경기 침체 장기화로 소비자의 가성비 수요가 늘면서 편의점들은 ‘1+1’ ‘2+1’ 같은 반값 행사에 이어 ‘880원 라면’ ‘990원 핫바’ 같이 유통업계 최저가를 앞세운 제품을 잇달아 선보였다. 이 때문에 매출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팔아도 남는 게 없다’는 얘기가 나온다.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30% 이상 떨어진 CU와 GS25도 매출은 2~3% 늘었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즉석식품같이 확실한 오프라인만의 강점을 노린 전략 등 집객을 위한 차별화 요소가 없으면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