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데일리 송병훈 기자] 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이 현대제철,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과 손잡고 국가기간 전력망 건설의 핵심 자재인 철탑 기자재 공급망 안정화에 나섰다. 전력수요 급증에 대비해 원자재 공급부터 제작·납품까지 전주기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국가전력망 건설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조치다.
한전은 24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현대제철 및 협동조합과 ‘국가기간 전력망 적기 건설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증가하는 송전망 건설 수요를 뒷받침하기 위해 철탑 자재 밸류체인을 정비하고, 미래 전력망 인프라 구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차원에서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현대제철과 협동조합은 철탑 제조에 필요한 원자재 공급과 제작을 적기에 수행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한전은 미래 전력수요 전망과 전력망 건설계획 등 주요 정보를 정기적으로 공유한다. 아울러 세 기관은 차세대 송전철탑 개발 등 기술 협력 분야까지 협력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AI·반도체 등 첨단산업 확산과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2038년까지 필요한 신규 송전망 길이는 약 4,700㎞, 철탑 자재는 약 70만 톤에 이를 전망이다. 철탑 기자재는 전력망 안정적 구축을 위한 필수 품목인 만큼 공급망 확보가 국가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현대제철은 연 2,400만 톤 생산능력을 보유한 국내 최대 철강기업이며,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은 전국 6개 철탑 제작사를 포함한 604개 회원사가 참여하고 있어 철탑 제조·공급망 안정화에 핵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다.
한전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현대제철 및 협동조합과 정례 협의체를 구성해 원자재 수급, 제작·납품 일정 등을 총괄 관리하는 상시 협력체계를 운영할 계획이다.
김호곤 한전 송변전건설단장은 “국가기간 전력망 적기 건설은 에너지고속도로를 구축하는 핵심이며, 철탑 기자재의 안정적 공급은 그 출발점”이라며 “이번 협업을 통해 탄소중립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 시대에 걸맞은 모범적 산업협력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