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국제뉴스) 김옥빈 기자 = 부산은 이미 오래전부터 암 발생률 1위, 암 사망률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양성자치료기 등 첨단 치료기기는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료기관에서 암 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60%에 달한다.
이에 부산시가 암 사망률 1위 도시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나섰다.
부산시는 3일 오전, 그랜드 조선 부산에서 기장군과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BISTEP)과 '양성자 치료센터 구축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동남권 첨단 암 치료 특화도시 조성'을 위한 협약식 양해각서에는 박형준 부산시장과 정종복 기장군수, 이창훈 동남권원자력의학원장, BISTEP 김영부 원장이 서명했다.

협약을 통해 △양성자치료센터 구축 사업 추진 △지역 완결적 암 치료체계 확립 △소아·난치암 환자를 위한 맞춤형 암 치료 기반 마련 △지역 내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키로 했다.
또 이날 자리를 빛내기 위해 정동만 국회의원과 한국원자력의학원 이진경 원장이 축사를 하며, 동남권 방사선의과학 산업의 발전과 지역 완결의료에 모두 힘을 모았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에 구축 예정인 양성자치료센터는 암 치료 뿐 아니라, 입자빔을 활용한 첨단 치료기술 연구개발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특히 의학원 바로 옆에 구축 중인 서울대병원 기장암센터의 중입자치료기와 연계하면, 부산은 국내에서 유일한 첨단 입자 치료의 중심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입자치료기는 기존 치료에 반응이 적거나 수술 불가능한 난치성·재발성 고형암(췌장암, 육종, 두경부암 등) 치료에 주로 적용되고, 양성자치료기는 정밀한 선량 조절로 정상조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소아암이나 뇌종양, 안면부 종양, 재발암 등 정상조직 보호가 중요한 암에 적용된다.

부산시는 국내 양성자치료 환자가 방사선치료 대상자 8만 명 중 10%인 80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다. 서울삼성병원과 국립암센터 양성자치료기로 연간 약 1500명 만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동남권 첨단 암치료 허브 구축 전략 수립 용역'에서는 중입자치료기에 이어 양성자치료기가 들어오면 생산유발효과 2512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778억 원, 취업 유발효과 1286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2부 포럼에서는 부경대학교 손동운 교수가 좌장을 맡아 '입자치료를 통한 방사선의과학기술 발전과 클러스터 협력 방안'을 주제로 전문가 발표와 패널토론이 이어졌다.

발표 세션에서는 △ 서울대학교병원 손재만 교수의 '중입자 가속기 구축지원 사업 현황 및 향후 활용전망' △ 한국원자력연구원 김민환 단장의 '수출용 신형연구로 실증사업 현황' △ 국립암센터 김학수 박사의 '국립암센터 양성자 치료기 도입사업 소개 및 최신 기술현황' △ 한국원자력의학원 김정영 실장의 '사이클로트론 및 관련 의료 동위원소 시장 동향'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유도솔 부장의 '입자선 활용 의생명 연구 허브 도약을 위한 동남권 양성자 치료센터 구축사업'으로 입자선 기반 방사선의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다양한 주제가 다뤄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