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ADHD 치료제가 ‘공부약’으로 둔갑하고 있다.
치료 목적을 벗어난 집중력 강화 수단으로의 오남용이 소아·청소년뿐 아니라 성인층까지 확산되는 가운데, 정부의 관리·감독은 사실상 부재한 상태다.
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남희 의원이 밝힌 식품의약품안전처자료에 따르면, ADHD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 처방 환자 수는 2020년 14만여 명에서 2024년 33만여 명으로 2.4배 폭증했다.
특히 30대는 363%, 20대는 278% 증가해, 치료제가 더 이상 소아·청소년에 국한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청소년 처방량이 집중된 지역은 △서울 강남 △송파 △서초 △성남 분당 △대구 수성 등 학업 경쟁이 극심한 ‘학군지’로, 치료제가 성적 향상 도구로 오해받고 있다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비급여 처방도 심각하다.
2023년 기준, 50대의 24.2%, 60대의 32.2%, 70대 이상은 26.5%가 비급여로 치료제를 복용했다.
이는 업무·학업 집중력 강화 목적의 남용 가능성을 시사하며, 의학적 필요보다 ‘성과 압박’이 약물 사용을 부추기는 구조가 드러난다.
김남희 의원은 “ADHD 치료제는 증상이 없는 사람에게는 불면, 불안, 심혈관계 이상 등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며 “비급여 처방 사유를 명확히 파악하고,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해 불필요한 오남용을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