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추석 연휴 직후인 10월 10일(금)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에 대해 “검토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개천절(3일)·추석 연휴(5~7일)·대체공휴일(8일)·한글날(9일)에 임시공휴일까지 더해 최장 10일 황금연휴가 완성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던 중 기획재정부는 16일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설에 대해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임시공휴일 국무회의 안건을 취급하는 인사혁신처 역시 “관계 부처로부터 관련 요청을 받은 바 없다”고 전했다.
정부는 긴 연휴가 해외여행 수요를 자극해 내수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고, 조업일수 감소로 수출·생산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신중론의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국무회의에서 “추석 연휴를 활용한 내수 활성화 방안을 선제적으로 준비하라”고 지시하면서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이 부상했다.
다만 정부는 최근 사례를 근거로 “실효성은 제한적”이라는 내부 평가를 굳힌 분위기다.
그럼에도 지정 가능성이 완전히 닫힌 것은 아니다. 1월 27일 임시공휴일도 불과 13일 전 확정된 전례가 있어, 향후 내수 여건과 업계 의견, 관광·유통·제조 등 업종별 영향 평가에 따라 막판 재검토 여지는 남아 있다는 관측도 공존한다.
현재로선 정부가 임시공휴일 지정 대신 연휴 내수 활성화를 위한 대체 수단(지역 소비쿠폰, 관광·전통시장 할인, 교통·숙박 프로모션 확대 등)을 우선 검토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