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일보] 정부가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에 대한 설비투자 지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3일 국가첨단전략산업의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첨단전략산업 소부장 중소·중견기업 투자지원’ 사업을 공고하고, 약 1300억원 규모의 투자지원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 중 국비는 700억원에 달한다.
이번 투자지원금 제도는 올해 처음 도입된 사업으로, 경제안보와 직결되는 전략산업의 기술 고도화와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목표로 한다. 대상은 국가첨단전략산업 분야에서 공급망 안정품목 또는 전략물자를 생산하는 중소·중견기업의 국내 투자에 한정된다. 전체 투자비의 30~50% 범위 내에서 지원이 이뤄지며, 건당 최대 150억원, 기업당 최대 200억원까지 가능하다.
정부는 약 30개 기업이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조치로 에피텍셜 증착장비, 네온 등 희귀가스, 실리콘웨이퍼 등과 같은 경제안보 핵심 품목의 해외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첨단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이번 투자지원금은 건축물 신·증설 없이 설비투자만으로도 신청할 수 있으며, 입지 확보부터 건축물 건설, 장비 구축까지 기업의 설비투자 단계에 따라 분할 신청도 가능하다.
투자지원금 신청을 원하는 기업은 9월 12일 16시까지 ‘e나라도움’ 누리집을 통해 투자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후 사업 전담기관인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신청기업의 계획이 지원 대상에 해당하는지 검토하고, 현장 실사를 통해 실제 이행 여부를 확인한다. 최종 지원 대상은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서 결정하게 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첨단산업 분야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공급망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향후 재정당국과 협의해 지속적이고 추가적인 지원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