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BS 금토드라마 ‘트라이: 우리는 기적이 된다’가 전국체전 우승으로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30일 최종회에서 한양체고 럭비부는 주가람(윤계상)의 지휘 아래 교체 없이 7명이 전 경기를 소화하는 악조건을 버텨내며 마침내 정상에 올랐다.
“지금을 버텨내면 이 순간이 우리의 하이라이트가 될 것”이라는 가람의 주문처럼, 부상 위기를 딛고 만들어낸 결승 트라이는 청춘 스포츠물이 줄 수 있는 최대치의 카타르시스를 선사했다. 방송은 최고 7.9%, 수도권 6.6%(닐슨코리아)로 자체 상향 곡선을 그리며 유종의 미를 거뒀다.
권선징악의 후일담도 통쾌했다. 사격부 전낙균(이성욱)은 입시비리와 폭행 혐의로 연행됐고, 교장 성종만(김민상)의 비리도 드러났다.
우승의 훈풍 속에서 주장 윤성준(김요한)은 대학 합격, 문웅(김단)은 청소년 국가대표 발탁이라는 개인의 성취를 이뤘다. 가람과 이지(임세미)는 각기 럭비부·사격부 감독으로 자리매김하며 ‘성장하는 어른’의 길에 들어섰고, 에필로그에서는 대상고로 떠났던 강태풍(조한결)이 한양체고로 복귀해 ‘원팀’의 내일을 예고했다.
‘트라이’가 통한 이유는 명확했다. 실제 경기를 방불케 하는 속도감과 공력 있는 촬영·편집이 박진감을 폭발시켰고, ‘개인’이 ‘원팀’으로 거듭나는 입체적 성장 서사가 몰입을 증폭했다.
시청자는 자연스레 응원자가 되었고, 방영 이후 포털 내 ‘럭비’ 언급량이 전월 대비 대폭 늘었을 정도로 작품을 넘어 종목 자체에 대한 관심을 견인했다는 점도 눈에 띈다.
성적과 메달로 학생을 재단하던 세계 속에서 아이들의 선택을 존중하고 실패마저 성장의 과정으로 품어낸 가람과 이지의 태도는 스포츠물의 땀과 감정선에 ‘좋은 어른’이라는 메시지를 더했다.
연기 시너지 역시 흠잡기 어려웠다. 윤계상은 괴짜 새 감독의 유머, 럭비에 대한 진심, 옛 연인과의 섬세한 정서까지 폭넓게 소화하며 ‘천의 얼굴’다운 육각형 연기를 증명했다.
김요한, 박정연, 김이준, 이수찬, 윤재찬, 황성빈, 우민규, 김단, 성지영 등 청춘 배우들은 캐릭터의 개성을 또렷이 살리면서도 고교생 특유의 티키타카, 경쟁 속 우정, 풋풋한 케미로 장면 장면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결과적으로 ‘트라이’는 응원과 공감을 부르는 과몰입 성장 서사로 SBS표 스포츠 드라마의 계보를 성공적으로 이었다.
마지막 휘슬은 울렸지만, 강태풍의 복귀가 암시했듯 한양체고의 하이라이트는 계속된다. 버티고, 함께하면, 기적은 결국 우리 편이 된다는 명징한 메시지를 남긴 엔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