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 탈당한 김남국 의원의 거액 가상자산 논란의 위기를 타개하겠다며 빼든 혁신위 카드가 도리어 ‘자책골’이 됐다는 당 안팎의 비판이 7일에도 이어지고 있다.
당의 쇄신 의지보다는 비명(비이재명)계를 중심으로 제기되는 ‘이재명 대표 책임론’에 따른 리더십 위기와 계파 갈등만 부각되고 있는 형국이다.
이 대표는 인선 발표 하루 전날인 지난 4일 저녁에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지도부에 이래경 다른백년 명예이사장을 혁신위원장으로 임명하겠다는 인선 결과를 공유했다고 한다.
이 대표가 지도부 사이에서라도 내부 검증을 할 시간적 여유를 충분히 주지 않았다는 점은 비판을 더욱 키울 수 있는 대목이다.
친명계 핵심 ‘7인회’ 일원이자 당 대표 정무조정실장인 김영진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에 출연해 “더 차분하고 진중하게 잘 준비해야 되는데 그렇게 진행되지 못해 죄송스러운 마음”이라고 말했다.
해당 논란을 고리로 비명계가 목소리를 키우는 ‘이재명 사퇴론’을 둘러싸고는 친명-비명계 간 갑론을박도 이어졌다.
한편 이 대표는 책임론에 대해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당 대표가 권한을 가진 만큼, 내부 논의를 충분히 했든 안했든 충분히 다 논의하고 하는 일입니다만, 결과에 대해서는 무한 책임을 지는 것이 당 대표가 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김종윤 기자 kjyun@idaeg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