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정부=국제뉴스) 황종식 기자 = 경복대학교는 2024년에 이어 THE 2025 NYF-K-NBA 뉴욕페스티벌 대한민국-국가브랜드대상 UNIVERSITY COLLEGE 부문에서 2년 연속 1위로 선정되었음을 밝혔다.
올해로 16회를 맞이한 ‘THE 2024 NYF K-NBA 대한민국 국가브랜드 대상’은 대한민국의 국가 자산으로서 가장 가치 있고 경쟁력 있는 대한민국 국가브랜드를 발표하는 시상식이다. 경복대학교는 2025년 UNIVERSITY COLLEGE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전지용 총장은 시상식에서 “경복대학교의 비전과 전문성, 기업가정신, 글로벌 시민의 인재상을 꾸준히 실천한 것이 좋은 결과를 가져왔다”며, “앞으로도 ‘잠재력을 전문가로!’라는 경복대학교 비전 실현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경복대학교는 AI 도입과 디지털트윈 기술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실용화를 선도하고 있다.
디지털트윈연구원은 산업계, 학계,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실질적인 문제 해결과 새로운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한다.
또한, AI기반XR시뮬레이션콘텐츠 전문기술석사과정을 운영 중이며, 이를 통해 XR(확장 현실) 기술을 실용적으로 응용하고 있으며, 관련 산업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 과정은 AI와 XR 기술의 융합을 통해 혁신적인 콘텐츠 개발과 실용적인 기술 교육을 제공하고, 향후 기술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디지털트윈 기술의 발전과 실용화를 위해 연구와 개발을 지속하며,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국내외 연구 네트워크 구축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구원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경복대학교는 AI 실무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연구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AI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확장하고 최신 기술을 반영한 교과 과정 개편을 추진하는 한편, 교직원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교육지도사 2급’ 자격 과정을 운영하여 AI 활용 능력 향상을 도모했다.
경복대학교는 AI 해커톤 대회를 통해 AI 기술을 활용한 대학 맞춤형 챗봇 KBU AI BOT을 개발해 공식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이 챗봇은 자연어 처리(NLP) 기반 대화형 AI 기술을 활용하여 학생과 교직원들에게 실시간 정보 제공과 학습·행정 지원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다국어 지원 기능도 갖추어 국제 학생들의 편리한 사용을 돕고 있으며, AI 모델 최적화, 데이터 구조 개선, 사용자 인터페이스 강화 등의 과정을 거쳐 실용성을 높였다.
KBU AI BOT은 대학 내 AI 활용도를 더욱 확대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로 평가되며, 향후 지속적인 기능 개선과 확장을 통해 학생 및 교직원들의 학습·행정 환경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경복대학교는 AI 기술 적용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며, KBU AI BOT이 그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AI 기반 디지털 교과서의 교육 효과를 분석한 연구 논문을 국제 학술지 Applied Sciences에 게재하며, AI 기반 학습이 자기 주도 학습 능력 향상과 맞춤형 학습 경로 설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데이터 보안, 알고리즘 편향성, 디지털 접근성 문제 해결을 위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경복대학교는 AI 기반 교수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디지털 교육 혁신을 위한 추가 연구와 교수자 연수를 추진할 계획이다.
경복대학교는 교육부가 발표한 2024년 대학정보공시(2023년 12월 31일 기준)에서 취업률 80.6%를 기록하며 졸업생 2천 명 이상을 배출한 전국 일반대학 및 전문대학 중 취업률 1위를 차지했다.
경복대학교는 높은 취업률의 비결로 실무 중심의 교육과 학생 맞춤형 지원 시스템을 꼽고 있다. 특히 2024년에는 작업치료학과와 치위생학과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국가고시 자격증을 취득한 쾌거도 이루었다. 외국인이 한국작업치료사 면허를 취득한 것은 최초로써 주목할 만한 점이다.
2022학년도 기준으로 경복대학교는 총 252억 원의 장학금을 지급하며, 재학생 1인당 평균 약 422만 원의 장학금을 제공했다.
장학금 수혜율은 92%로 대부분의 학생이 혜택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뿐만 아니라, 해외취업지원 프로그램에 재학생 3,721명이 참여했으며, 8,400개의 산학협력 기업과 협약을 체결해 안정적인 취업 기회를 제공했다.
최신식 기숙사와 무료 통학버스를 운영하며 학생 편의를 강화했다. 또한, 글로벌 학습 경험을 위해 해외 현장학습 및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국제화 교육을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