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사는 APEC 계기를 활용해 경북도의 도시 경쟁력과 글로벌 인지도를 해외 관광시장 확대로 연결하기 위한 해외 박람회 참가, 네트워크 확대, 글로벌 협력 프로젝트 발굴 등을 꾸준히 추진해왔다.
특히 최근 프리미엄 관광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중동권을 핵심 전략시장으로 설정하고, 주한 아랍권 대사들이 참여하는 ‘아랍소사이어티’와 MOU 체결, 아랍권 대사관 초청 팸투어 등 기반 구축을 단계적으로 진행해왔다.
천년고도 경주는 신라 시대부터 실크로드 동단의 교역 중심지로 자리 잡으며 아랍 세계와 긴밀한 문화 교류를 이어온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불국사 유황 유물, 괘릉 무인상의 서역 복식, 신라인이 묘사한 서역인의 폴로 장면, 처용 설화 등은 신라와 아랍 간의 깊은 교류 흔적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공사는 이러한 역사적 스토리와 도시 브랜드를 기반으로 중동을 Post-APEC 이후 첫 전략시장으로 선정했으며, 이번 두바이·카타르 일정은 중동시장 공략의 실질적 출발점이 됐다.
두바이 방문에서 공사는 한류 확산 전략의 거점인 ‘KOREA 360’을 찾아 경북 홍보존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 두바이센터와 만나 중동권 한류 열풍과 경북 관광을 연계한 공동마케팅 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KOTRA 두바이 무역관과 면담하며 중동 내 경북 관광 홍보 전략, 협력기관 확대 등 다양한 네트워크 가능성을 검토했다.
카타르 도하에서는 웰니스·MICE 등 경북의 프리미엄 관광 콘텐츠를 알리기 위해 조성된 카타르트래블마트(QTM) 경북 홍보데스크 운영 현황을 확인하고, 한국관광공사 두바이지사와 중동 관광객의 경북 방문 확대를 위한 공동 협력 방안을 구체적으로 협의했다.
김남일 경북문화관광공사 사장은 “이번 중동 방문은 APEC을 통해 상승한 경북의 국제적 위상을 실제 성과로 전환하기 위한 중요한 첫 시도”라며 “중동 프리미엄 관광시장과 연계를 강화해 새로운 실크로드를 열고, 경북 관광의 세계적 위상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공사는 신라–아랍 천년 교류사를 현대적 관광 콘텐츠로 발전시키고, ‘한·아랍 국제 문화축제(가칭)’ 등 글로벌 문화행사를 추진해 중동 관광객 유입 확대와 Post-APEC 성과 확산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