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군의 셰프' 박성훈 하차→역사 왜곡 논란...이채민 장면 '지적'

[ 국제뉴스 ] / 기사승인 : 2025-09-21 11:52:30 기사원문
  • -
  • +
  • 인쇄
폭군의 셰프 역사 왜곡 논란 장면/ 방송 캡쳐 
폭군의 셰프 역사 왜곡 논란 장면/ 방송 캡쳐

tvN 드라마 '폭군의 셰프' 원작 웹소설 '연산군의 셰프로 살아남기'를 쓴 박국재 작가가 역사 왜곡 논란에 대해 입장을 내놨다.

박 작가는 19일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폭군의 셰프' 역사 왜곡 논란 기사 제목과 함께 "드라마 속 사신 연회 장면은 국가 공식 문헌에 기반한 고증"이라고 밝혔다.

극 중 연희군(이채민)이 명나라 사신과 나란히 앉고, 사신에게 고개 숙여 인사하는 장면에 대해 일부 시청자들은 "왕이 사신보다 격이 낮게 묘사됐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박 박가는 "1474년 간행된 국가 공식 예법서인 국조오례의에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방법이 자세하게 나온다"고 운을 뗐다.

박 작가에 따르면, '빈례(賓禮)' 편에 '조정의 사신을 연회하는 법[宴朝廷使儀]'이 나오는데, 연회는 사신이 머무는 태평관(太平館)에서 이뤄진다.

사신의 자리는 동쪽 벽에 위치하게 돼 있고 어좌(御座 왕의 자리)는 서쪽 벽에 위치한다. 왕과 사신이 같은 높이에서 마주보고 앉는 좌석배치다.

박 작가는 "따지고 보면 사신의 자리가 오히려 상석이다. 유교적 예법에 따르면 방향이 서열을 의미하는데, 동쪽이 서쪽에 비해 더 높기 때문"이라며 "그래서 조정에서도 더 높은 좌의정이 동쪽에, 더 낮은 우의정이 서쪽에 위치한다. 문반이 동쪽, 무반이 서쪽인 것도 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 작가는 또한 "기록을 더 살펴보면 왕이 사신에게 먼저 읍(揖인사)하고, 사신이 답읍(答揖)하게 돼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명나라 사신은 황제의 대리인이기 때문에, 조선 왕보다 의전상 서열이 높기 때문"이라며 "이건 국력이나 주권과는 아무 상관 없다. 당시의 외교적 관례 혹은 국제 행사에서 통하는 프로토콜 같은 거라고 보면 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국조오례의는 작중 시기로부터 불과 30년 전에 편찬된 국가의 공식 예법서다. 당시에는 쓰여진 그대로 행해졌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니까 사신연의 묘사는 공식 문서에 기반해 제대로 고증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폭군의 셰프'는 웹소설 '연산군의 셰프로 살아남기'를 원작으로, 현대의 셰프가 타임슬립해 조선시대 폭군 왕을 요리로 사로잡는 과정을 그린 판타지 로맨틱 코미디다. 임윤아와 이채민이 주연을 맡았으며, 시청률 고공행진 중이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