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위즈는 29일 보도자료를 통해 “2023시즌 재계약 대상자 61명과 연봉 계약을 마쳤다”고 밝혔다.
가장 마지막에 도장을 찍은 강백호는 5억 5000만 원에서 2억 9000만 원을 받는다. 삭감율이 무려 47.3%나 된다.

강백호는 지난 시즌 두 번의 큰 부상과 함께 커리어로우 시즌을 보냈다. 이렇다 할 활약을 펼치지 못했다.
62경기에 나섰고 타율은 0.245에 58안타 6홈런 29타점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강백호가 타율 2할 4푼대에 머문 건 당연히 처음이다. 100경기 미만 경기 출전도 처음, 단일 시즌 한 자릿수 홈런-두 자릿수 안타 모두 처음이다. 그만큼 강백호는 부진했다.
불가항력 적으로 피할 수 없는 부상을 당했고, 부상은 결국 성적의 발목을 잡았다. 관리 소홀로 생긴 부상이 아니었기에 더욱 미련이 남을 수 있었다.
강백호는 지난해 부상으로 엔트리서 빠진 일수가 무려 79일이나 됐다.
그러나 강백호가 불만을 가질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부상도 실력이라는 입장을 보이는 야구인들도 적지 않다.
김종국 KIA 감독은 현역 시절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부상도 실력이다. 부상은 불의의 순간에 찾아오는 것 같지만 준비가 돼 있었다면 부상도 피할 수 있다. 부상은 늘 전조 증상을 보이기 마련이다. 부상 부위에 뭔가 불안하고 흔들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럴 때일수록 보강 훈련을 열심히 하고 부상에 대한 대비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뭔가 불안한 상황에서 그냥 그 위기를 넘기려고 하면 꼭 그 부위에 부상이 생기게 된다. 때문에 부상도 실력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뭔가 불안한 느낌이 들 때 좀 더 확실하게 준비한다면 대부분의 부상을 피할 수 있다.”
부상은 오기 전에 항상 신호를 보내게 돼 있고 그 신호가 왔을 때 보강 훈련 등을 더 열심히 했다면 부상을 피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강백호가 부상으로 빠지며 떨어진 성적에 미련을 둬선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부상은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하지만 부상이 오기 전엔 항상 전조 증상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런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강백호에겐 좋은 공부가 된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는 부상에 발목을 잡히지 않도록 준비하고 대비하는 훈련을 한다면 지난 시즌 같은 아픔은 되풀이하지 않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부상도 실력이다.” 강백호가 새로운 시즌 반드시 마음속에 담아 둬야 할 격언이라 하겠다.
[정철우 MK스포츠 전문기자]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