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퀀텀에어로와 한국비상대비연구협회가 비상대비분야 효율성 강화 및 연구능력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방산 AI 스타트업 퀀텀에어로(전동근 이사회 의장)와 부설 AI융합연구소(연구소장 이월형)가 한국비상대비연구협회(회장 김문겸)와 ‘AI 무인기 기반의 시뮬레이션 훈련 및 비상대비 연구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7월 17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국내·외 국방 AI분야와 드론, 무인기, 전력분야의 기술동향 및 정보 공유, 관·산·연·군 주관 각종 전투실험 및 세미나 관련 상호 협력, 운영기관 발전을 위한 지원 및 연구분야 과제 협력 수행, 기타 상호 협의에 의한 사항(국가연구과제 공동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AI 자율비행 드론 기술의 국산화 및 고도화, AI 기반 방위산업 기술 교류, 인재 교류 및 공동연구 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국내외 사업화 연계를 중심으로 폭넓은 협력을 이어가게 될 것이다.
김문겸 협회 대표(단국대 외래교수, 전 연세대 연구교수)는 “비상대비 체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상대비 정책과제 등을 연구하고, 효과적인 관·산·연·군의 첨단기술을 접목한 혁신이 필요하다”며 “이번 MOU는 관·산·연·군이 실시간 정보 기반으로 공동대응할 수 있는 통합 비상대비 기술 개발 가능성을 연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밝혔다.
퀀텀에어로 전동근 이사회 의장은 “실무 중심 국방AI 인재 양성과 산연 기반 기술개발은 퀀텀에어로가 준비 중인 AI 기반 무인기 시스템 구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앞으로도 산업의 현장성과 연구소의 연구전문성을 갖춘 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해 국방 AI 플랫폼 구축 개발을 위한 기술적 기반을 하나씩 갖춰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비상대비 정책과제 연구와 첨단 무인기 기술을 결합해 지자체·국방·민간까지 아우르는 종합 위기관리 대응체계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지난해 6월 대한민국 해군의 요청으로 독도함에서 쉴드AI의 수직이착륙무인기(V-BAT) 전투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주목받기도 했다. 또한 최근에는 현대로템, 대한항공, KAI, 한화시스템, 한화USA,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휴니드 테크놀로지, 카카오 모빌리티 등의 국내 대기업을 비롯한 다양한 기업들과 비밀유지협약(NDA)을 체결하는 등 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그 외 공공기관, 연구소들과의 협업도 확대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산연의 교류를 넘어서 AI 기반 무인기 플랫폼의 솔루션을 준비하고 있는 퀀텀에어로가 다양한 연구소와 협업해 AI 기술의 실용화와 연구과제 발굴 수행 등의 연계를 동시에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퀀텀에어로는 현재 AI 자율비행, 전술 통신 연동, 유무인 복합 운용(MUM-T) 등 AI 기반 무인기 시스템을 구축, V-BAT 수직형 이착륙 무인기의 운용과 향후 프로그램을 국산화로 개발하기 위한 핵심 기술 확보를 목표로 관련 역량과 기반을 하나씩 구축해 나가고 있다. 향후에는 국내외 기술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의 작전환경에 적합한 AI 기반 무인기 플랫폼 개발을 본격화할 계획을 자신감있게 밝히고 있어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퀀텀에어로 소개
퀀텀에어로는 미국 방산 유니콘 기업인 Shield AI의 한국 기술 독점 파트너로, 해외의 최첨단 AI 기술과 무인 전력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국산화해 한국형 통합 솔루션을 개발하고 제공한다. AI 개발 및 솔루션 제공, 무인 플랫폼 하드웨어 판매 및 리스 사업과 첨단 AI 기술과 무인 플랫폼의 국산화에 주력하고 있다.
출처: 퀀텀에어로
언론연락처: 퀀텀에어로 사업개발팀 최용우 팀장 02-547-0229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