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1부대의 진실을 고발하는 신간 출간…'역사의 법정'으로 끌어낸 비인도적 행위

[ 비건뉴스 ] / 기사승인 : 2025-07-05 14:00:00 기사원문
  • -
  • +
  • 인쇄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731부대의 실체를 다룬 신간이 출간돼 다시금 역사적 책임과 인권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번 신간 『731 부대 역사의 법정 - 비인도적 잔학 행위』는 일본 제국주의 치하 만주 하얼빈 인근에서 벌어진 731부대의 생체실험과 세균전 실태를 조명하며, 그동안 은폐돼 온 전범 행위들을 고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은 단순한 사건 기록이 아니라, 역사적 증거와 증언을 바탕으로 국제사회가 어떤 관점으로 이 문제를 바라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법적·윤리적 성찰을 촉구한다. 특히 생존자들의 증언과 1940~50년대 국제 사회의 조사 문건, 연합군의 보고서 등 방대한 자료를 통해 당시 벌어진 생체실험의 잔혹성과 인권 유린의 실체를 드러낸다.



731부대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관동군 산하에서 세균전을 연구하고 실험한 군사조직이다. 이들은 감염병과 저온실험, 해부, 화학약품 주입 등 다양한 형태의 인체 실험을 자행했다. 하지만 전쟁이 끝난 뒤에도 책임자 다수는 형사처벌을 피한 채 주요 의학자나 관료로 활동해왔다. 그 이면에는 미군과의 정보 거래를 통한 면책이라는 국제정치적 타협이 있었다는 점에서, 이 책은 역사와 도덕, 국제법의 충돌 지점을 묻는다.



저자는 '731부대의 범죄는 단순한 과거사가 아니라, 지금도 반복될 수 있는 위험을 경고하는 인류 보편적 경종'이라고 강조한다.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국가가 어떤 방식으로 인간을 도구화하고, 과학이라는 이름 아래 어떤 참상이 자행될 수 있었는지를 냉정하게 바라보게 만든다.



이번 신간은 단순히 일본 전범 행위를 비판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침묵하거나 외면해온 국제사회의 역할과 책임 또한 되짚는다. 특히 뉘른베르크와 도쿄재판과는 달리, 731부대 관련자들은 대부분 면책을 받았다는 역사적 아이러니를 지적하며, '정의의 유예'가 오늘날 어떤 윤리적 공백을 만들어냈는지를 짚는다.



『731 부대 역사의 법정』은 법정이라는 형식을 빌려 독자들에게 묻는다. 인간의 존엄을 침해한 행위에 대해 어느 시점에서라도 책임을 물을 수 있는가, 그리고 그것이 정의인가 복수인가. 이러한 질문은 과거의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오늘날 우리가 어떤 윤리적 기준 위에서 역사를 바라보아야 하는지를 성찰하게 한다.



신간 출간을 계기로, 731부대의 실체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학술적 재조명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이 책은 침묵 속에 잊혀진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되살리며, '기억해야 할 역사'로서의 무게를 독자에게 조용하지만 묵직하게 전달한다.

  • 글자크기
  • +
  • -
  • 인쇄

포토 뉴스야

랭킹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