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적장·창고에 철강재 쌓는 것도 한계…업무개시명령 가능성 높아

▲ 포항시 화물연대 총파업 점검반이 시멘트 운송거부 화물차에 업무개시명령서를 부착하고 있다.
▲ 포항시 화물연대 총파업 점검반이 시멘트 운송거부 화물차에 업무개시명령서를 부착하고 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총파업이 10일을 넘기면서 포항 철강업계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의 집계에 따르면 이번 화물연대 파업으로 이날까지 철강업계가 입은 피해액은 1조 원이 넘는다.

정부는 5대 철강사인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KG스틸의 출하 차질액이 피해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와 경북에서는 화물차 5만여 대 중 7% 가량이 운송을 멈추면서 산업현장에서 약 2천억 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포항제철소는 하루 출하량 1만t 가운데 3천t 가량을, 현대제철 포항공장은 하루 출하량 8천t 전량을 내보내지 못하고 있다.

동국제강 포항공장은 출하 규모를 절반 이하로 축소했으며, 포항 현대종합특수강은 생산원료 미입고로 일부 생산라인이 중단돼 10억 원이 넘는 피해를 봤다.

지역 철강업계는 지금처럼 평소 대비 50% 미만의 출하 상황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생산량 조절 외에는 마땅한 대안 없는 탓에 생산량 조절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지난 6월 화물연대 파업 당시 제품 출하 차질로 도로나 공장 주변에 제품을 쌓아두다 한계에 다다르자 선재·냉연공장 가동을 중단하기도 했다.

포항시는 철강산업단지 공장들의 가동 중단을 막기 위해 장기 방치된 폐공장 및 야적장 추가 확보 등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파업이 장기화되면 더 큰 피해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 철강업계 관계자는 “철강기업들이 사전 확보했던 원자재가 소진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라인 가동중단까지 우려된다”며 “철강분야에도 정부의 업무개시명령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웅희 기자 wo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