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국민의힘 김대식 비상대책위원이 11일 비대위 회의에서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붕괴 위기를 강도 높게 경고하며 정부의 즉각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김대식 위원은 “우문현답,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며,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대식 위원은 한화그룹과 DL그룹이 합작한 여천NCC의 부도 위기를 사례로 들며, 국내 석유화학 산업 전반이 구조적 위기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여천NCC는 5년 전만 해도 매출 5조 원, 영업이익 1조 원을 기록했던 기업이었지만, 현재는 3,100억 원 규모의 운영자금 조달이 불투명해지며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이는 단순한 업황 부진을 넘어, 산업 생태계 전체가 흔들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김대식 위원은 최근 3년간 중국과 중동을 중심으로 동북아 지역에 국내 전체 생산능력의 2,200%에 해당하는 2,500만 톤 규모의 석유화학 설비가 증설된 점을 지적했다.
글로벌 수요 부진과 공급 과잉이 겹치면서 롯데케미칼, LG화학, 한화솔루션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줄줄이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보스턴컨설팅그룹은 이 상태가 지속될 경우 3년 내 국내 석유화학 기업의 절반이 시장에서 사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석유화학 산업은 자동차, 전자, 건설 등 전후방 산업을 떠받치는 국가 핵심 기반이다.
여천NCC의 부도는 산업단지 붕괴, 대규모 고용 위기, 지역 경제 붕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경제의 근간을 흔드는 사안이다.
김 위원은 “기업만의 문제로 치부하고 방치하는 것은 국가 경제를 스스로 무너뜨리는 길”이라며, 정부가 더 늦기 전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발표된 산업 개편 로드맵이 아직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고부가가치 스페셜티 제품 전환, R&D 투자 확대, 정책 금융 및 세제 지원을 통한 생산라인과 고용 방어, 불가피한 설비 통폐합 등 구체적이고 강력한 실행 계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여수뿐 아니라 울산, 서산까지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은 “석유화학 위기는 예고된 위기였으며, 골든타임은 빠르게 지나가고 있다”며, 정부가 부도 사태를 방관한다면 회생 가능한 기업마저 줄줄이 쓰러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금이야말로 산업 전환과 생태계 보전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실행할 마지막 기회라는 점을 정부가 인식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